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통사적 복잡성과 분석적 척도의 언어 사용 점수간의 관계 탐색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Syntactic Complexity Indices and Scores on Language Use in the Analytic Rating Scale

이영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yntactic complexity indices and scores on language use in Jacobs et al.(1981)’ analytic rating scale. Syntactic complexity indices obtained from TAASSC program and 440 essays written by EFL students from the ICNALE corpus were analyzed.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cores on language use and Lu(2011)’s traditional syntactic complexity indices, phrasal complexity indices, and clausal complexity indices, respectively.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hrasal complexity indices turned out to be the best predictor of scores on language use, although the variance in scores on language use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for writing instruction (i.e., syntactic structures at the phrase level) were also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자동화된 통사 구문 분석 프로그램인 TAASSC를 활용하여 통사적 복잡성 지표와 분석적 척도의 언 어 사용 점수 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ICNALE 코퍼스에서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EFL 학생이 작 성한 에세이 440개를 분석하였고, 언어 사용 점수와 Lu의 전통적인 통사적 복잡성 지표, 구 복잡성 지표, 절 복잡성 지표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구 복잡성 지표가 분석적 척도의 언어 사용 점수를 가장 잘 예 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행연구와는 달리 언어 사용 점수를 차지하는 변량은 낮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구 수준에서의 통사구문에 대한 지도와 연습이 필요하다는 쓰기 교육의 시사점을 제시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선행연구 검토
III. 연구방법
1. 연구자료
2. 통사적 복잡성 지표 추출
3. 분석적 척도의 언어 사용 점수
4. 자료분석
IV. 연구결과
1. 전통적인 통사구문 지표와 언어 사용 점수간의관계
2. 구 복잡성 지표와 언어 사용 점수간의 관계
3. 절 복잡성 지표와 언어 사용 점수간의 관계
V.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영주 Young-Ju Lee. 정회원, 한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