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니체는 왜 기독교를 탄핵했나?

원문정보

Why did Nietzsche Charge Christianity?

전경진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110집 2023.09 pp.193-21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Nietzsche's critique of Christianity as part of hi s c ri ti que of morali ty and a s the f i nal result of hi s moral naturali sm. To thi s end, thi s paper pay attention to the layered nature of hi s cri ti que of morality and the normative implications contained in his moral philosophy. These discussions show that his critique of Christianity is not an expression of his own personal ressentiment toward Christianity or an example of his anti-moral characteristics that deny all morality, but is part of his moral practice through the restoration of natural morali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ocuses on three points. First, we critically review the existing discussions on Nietzsche's critique of Christianity. Existing discussions contain the intention to defend Christianity from Nietzsche's critique despite important differences, and generally take issue with Nietzsche's psychology-oriented naturalist approach that rejects transcendence. Second, we examine why Nietzsche criticized Christianity, focusing on Antichrist. Nietzsche criticized Christianity not just because it originated from a ressentiment, but because of the harm i t actually di d to life. Thi rd, we i denti fy N i etzsche's c ri ti que o f C hri sti ani ty a s t he r esult o f h i s moral practice that removes harm to life. Nietzsche's critique of Christianity is related to his moral critique in pursuit of ‘self-overcoming of morality’ and is the result of thoroughly reflecting his own naturalistic moral philosophy. For Nietzsche, Christianity is the largest and most dangerous anti-nature that undermines the foundation of human life, so Nietzsche charges Christianity in the name of natural morality to eliminate harm to life.

한국어

이 논문은 니체의 기독교 비판을 그의 도덕 비판의 연장선에서 이해하고, 그의 도덕적 자 연주의의 최종 결과물로서 다룬다. 이를 위해 그의 도덕 비판의 중층적 성격과 그의 도덕철학 에 담긴 규범적 함의에 주목한다. 이러한 논의는 그의 기독교 비판이 기독교에 대한 그 자신 의 개인적 원한감정의 표출이거나 모든 도덕을 부정하는 그의 반도덕적 특징을 보여주는 실 례가 아니라 도덕의 자연성 회복을 통한 그의 도덕적 실천의 일환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논문은 세 가지 점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첫째, 니체의 기독교 비 판에 대한 기존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기존 논의는 예수와 바울의 기독교를 구분하 느냐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니체의 비판으로부터 기독교를 옹 호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고, 대체로 초월을 거부하는 니체의 심리학 중심의 자연주의적 접 근방식을 문제 삼는다는 점이다. 둘째, 안티크리스트를 중심으로 니체가 기독교를 비판한 이유를 살펴본다. 니체가 기독교를 비판한 이유는 단지 기독교가 원한에서 비롯되었기 때문 이 아니라 실제 기독교가 삶에 끼친 해악 때문이라는 점이다. 셋째, 니체의 기독교 비판을 삶에 대한 해악을 제거하는 도덕적 실천의 결과물로서 파악한다. 니체의 기독교 비판은 ‘도 덕의 자기극복’을 추구하는 그의 도덕 비판과 관련이 있으며, 철저하게 그 자신의 자연주의 적 도덕철학의 입장을 반영한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니체에게 기독교는 인류의 삶의 지반을 훼손하는 가장 크고 가장 위험한 반자연이기에, 니체는 자연적 도덕의 이름으로 삶에 대한 해악을 제거하는 차원에서 기독교를 탄핵한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니체의 기독교 비판에 대한 기존 논의들
3. 삶에 대한 기독교의 해악
1) 허무주의적 실천: 동정의 종교
2) 오만과 허위: 신학자-본능의 산실
3) 반자연으로서 기독교
4. 도덕적 실천으로서 니체의 기독교 비판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경진 Jeon, Kyung Jin.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