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lshinjae(日新齋) Jeong Eui-rim(鄭義林, 1845~1910), one of the representative disciples of Ki Jeong-jin(奇正鎭, 1798~1879), not only steadily understood the Confucianism from the mid-twenties who entered the master's school, but also steadily received the essence of Nosa(蘆沙) scholarship from the master. After Ki Jung-jin’s death, he played a key role in various academic acti vi ties a nd p rojects i n t he N osa s chool a nd embodied h is s tatus a s a representative writer in Honam area. In particular, Jung Eui-rim played a leading role in developing anti-criticism against the criticism of Ganjae(艮齋) Jeon woo(田愚, 1841~1922) and other scholars along with Jeong Jae-Gyu(鄭 載圭, 1843~1911) in the controversy of the Yulgok school(栗谷學派) and the controversy of the theory about the Nosa theory in the third publication of the Nosajip(蘆沙集), Through this, he took the lead in the succession and protection of Nosa scholarship and faithfully performed his role as a scholar representing the Nosa school disciples in Honam area. Particularly noteworthy in his academic activities is his lecture activities in his 40s. He has been engaged in lecture activities for more than 30 years, centering on his base, Neungju(綾州). Through this, he played a crucial role in continuing the Confucian tradition of the Hunan(湖南) region as well as the succession of Nosa scholarship and the spread of Nosa school. And the 380 disciples who were produced by him continued various academic activities and took the lead in inheriting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in Honam. In t hi s thesi s, I s ummari zed t he l i fe o f Jung E ui -ri m, a representati ve literary figure of the Nosa school, focusing on his lecture activities. And based on this, I confirmed the pattern of succession of Nosa's academic line in the Honam area, centering on the disciples produced through his lecture activities. And I tried to examine one aspect of Nosa's academic succession in the Honam area by examining the size and activities of the disciples produced through his lecture activities.
한국어
奇正鎭(1798~1879)의 대표 문인 중 한 사람인 鄭義林(1845~1910)은 기정진의 문하에 입 문한 20대 중반부터 착실하게 성리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며 스승으로부터 착실하게 蘆沙 學의 정수를 수수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정진 사후에 주요 동문과 함께 노사학의 체계화를 주도하는 한편, 蘆沙學派 내부에서 펼쳐진 여러 학문 활동과 사업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호남 지역의 대표적인 문인으로서의 위상을 구체화하였다. 특히 정의림은 蘆沙集 重刊 과정에서 불거진 기정진 학설에 대한 기호학계의 논란과 학설 논쟁 과정에서 鄭載圭 (1843~1911)와 함께 田愚(1841~1922)를 비롯한 다른 학파 학자들의 비판에 맞서 반비판을 전개하는 선봉장 역할을 담당하며 노사학의 계승과 수호에 앞장서며 호남 지역의 노사학파 문인을 대표하는 학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였다. 그의 학문 활동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40대부터 본격화한 강학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자신의 근거지인 능주를 중심으로 30여 년간 펼쳐진 그의 강학 활동은 노사학의 계승과 노 사학파의 확산은 물론, 호남 지역의 유교 전통을 이어가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380여 명에 이르는 문인들은 다양한 학문 활동을 지속하며 호남 유학의 전통을 계승하는 데 앞장섰다. 본고에서는 蘆沙學派의 대표적인 문인인 정의림이 펼친 강학 활동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 를 전반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직전 제자를 중심으로 호남 지역 내의 노사 학맥 계승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직전 제자들의 규모와 활동을 검토하여 호남 지역 내 노사학 계승 양상의 일단면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鄭義林의 학문 활동과 蘆沙學의 계승
1) 노사학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수수
2) 노사학의 정립과 문인 내부의 결집 주도
3) 학문 탐구의 지속과 문인 배출을 위한 강학의 전개
4) 蘆沙學의 수호와 의리 실천을 위한 의지의 표명
3. 정의림 직전 제자들의 규모와 활동
1) 직전 제자들의 규모
2) 정의림 학문의 추숭 작업과 강학 활동의 전개
3) 실천 지향적 면모의 지속과 유교 문화의 계승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