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Awareness Survey on the Treatment of Social Welfare Workers : Focusing on Jeollabuk-do
초록
영어
In this study, as the demand for social welfare services increases,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workers is increasing in quantity, and the poor treatment of social welfare workers is continuously pointed ou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basic data and set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treatment through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treatment of social welfare workers. As a result of the study, 55.2% of respon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level of remuneration compared to the intensity of work, and 61.1% of respon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level of satisfaction compared to workers in similar occupations. In addition, to improve the remuneration system, compliance with the government's remuneration guidelines, overtime work allowanc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hild school expenses system were found to be high. As a policy measure for this, a single wage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improve the remunera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and support for welfare programs should be expanded. In addition, unification of policies is required to improve the treatment of social welfare workers, and expansion of emotional support programs is required to restore trust among social welfare workers.
한국어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복지 종사자도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가 열악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 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복지 종사자의 처우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처우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의 설정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업무강도 대비 보수 수준에 대해 만족하지 않 는다는 의견이 55.2%로 나타났고, 유사 직군 종사자 대비 만족도의 경우 만족하지 않는다 는 의견이 61.1%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수체계 개선을 위한 대안은 정부의 보수 가이 드 라인 준수, 시간외 근로수당, 자녀학자금 제도 도입 등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복지종사 자의 보수 향상을 위한 정책 방안은 사회복지 종사자의 보수 단일 임금제도를 도입하고, 복리후생 제도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 종사자의 처우 개선을 위해 정책의 일원화가 필요하며, 사회복지 종사간의 신뢰 회복을 위한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 확대가 요구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사회복지종사자 처우의 의미
2. 사회복지종사자 처우의 인식과 기대수준
Ⅲ. 연구설계 및 분석결과
1. 연구설계
2. 분석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