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형 자치경찰의 맞춤형 복지정책 발전방안

원문정보

Development Plan for Customized Welfare Policy of Korean Autonomous Police

박동균, 이행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case of police officers, with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welfare points are paid to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autonomous police duties at the level of customized welfare points paid to public officials in each city and province, and appropriate welfare benefit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and needs of each employee. In order to boost morale, such as improving the welfare and treatment of police field workers, each provincial and provincial autonomous police committee is implementing customized welfare support for local police. In the case of police officer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proper benefits are being given to police officers who have special characteristics in their work that are different from general public official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ed short- to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s for the following customized welfare support for public officials performing autonomous police affairs. First, as a short-term plan, measures such as support for overseas travel expenses,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education support, and dispatch of resident police officers are needed. As a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customized welfare support, expansion of the scope of payment, development of welfare options based on the specificity of the autonomous police work, vitalization of linkage with welfare point-related organizations, promotion, and welfare system based on the specificity of the autonomous police job establishment is required.

한국어

경찰공무원의 경우 자치경찰제의 전면 시행으로 자치경찰사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에 대 해 각 시도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맞춤형 복지포인트 수준의 복지포인트를 지급하고 직원 개개인의 선호와 필요에 따라 적합 복지혜택을 선택하여 자치경찰 현장 근무자들에 대한 복지 및 처우 개선 등 사기진작을 위해 각 시도자치경찰위원회에서 자치경찰 맞춤형 복 지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경찰공무원의 경우 일반 공무원과 달리 구별되는 업무상 특수 성을 지닌 경찰공무원들에게는 적정한 혜택이 돌아가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자치경찰사무를 수행하고 있는 공무원에 대해 다음과 같은 맞춤형 복지지원에 대한 단기-중장기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단기적인 방안으로 해외여행경비 지 원, 근무시설에 대한 환경 개선, 교육 지원, 자치경찰의 주재관 파견 등의 방안이 필요하 다. 맞춤형 복지지원에 대한 중장기 발전방안으로 지급범위의 확대, 복지 선택항목을 자 치경찰사무의 특수성에 기인하여 개발, 복지포인트 관련기관들과의 연계 활성화, 홍보, 자 치경찰 직무의 특수성에 기인한 복지체계 확립 등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자치경찰 복지에 관한 이론적 논의
1. 자치경찰 복지의 개념 및 의의
2. 자치경찰의 맞춤형 복지제도의 유형 및 특징
3. 자치경찰공무원의 직무 특수성
Ⅲ. 선행연구 검토 및 분석틀 설정
1. 선행연구의 검토
2. 분석틀 설정
Ⅳ. 자치경찰의 맞춤형 복지제도의 운영 현황 및 문제점
1. 자치경찰의 맞춤형 복지제도 운영현황
2. 자치경찰의 맞춤형 복지제도의 문제점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동균 Park, Dong-Gyun. 대구한의대학교 교수 / 대구자치경찰위원회 상임위원
  • 이행준 Lee, Haeng-Jun. 아주대학교 특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