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가 세대별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the Impact of COVID-19 Social Distancing on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Across Generations

조은희, 홍상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varies greatly by age and generation due to differences in experiences and values. However, the constraints of social distanc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have significant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across gen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is constraint is differentiated by generation. Since numerous studies on life satisfaction have found similar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social distancing due to COVID-19 on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by generation to differentiate from existing studies. The analysis method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major variables constrained by social distancing in Korea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compare the influence of each gen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is most strongly affected by goal achievement satisfaction, but it is empirically proven that the generation most affected by COVID-19 is young adults. Second, the influence of the social constraint variables goal achievement satisfaction, domestic travel experience, and life satisfaction varied by generation. In addition, goal achievement satisfaction decreased in all generations, life satisfaction increased in young adults and older adults, and the influence of domestic travel experience and life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increased in middle-aged people who were less vulnerable to COVID-19. Finally, the impact of social distancing policies significantly affected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across all generations, but goal achievement satisfaction became relatively less influential.

한국어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경험과 가치관의 차이 때문에 연령별 또는 세대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제약요인 은 세대구분 없이 삶의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제약 요인이 세대별로 차별 성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삶의 만족도에 대한 수많은 연구에서 비 슷한 영향 요인이 도출되었기 때문에 기존 연구들과의 차별성을 위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친 영향력을 세대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로 제약이 된 주요 변수의 영향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세대별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며, 첫째, 삶의 주관적 만족도는 목표달성만족도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지만 코로나19의 충격이 가장 큰 세대는 청년층인 것이 실증적으로 증명이 되었다. 둘째, 세대별로 사회적 제약 요인인 목표달성만족도, 국내여행경험, 생활만족도 변수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 한 모든 세대에서 목표달성만족도가 감소하였고 청년층과 노년층은 생활만족도, 코로나19 에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약했던 중년층은 국내여행경험과 생활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커졌다. 결국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의 영향은 전 세대에 걸쳐 주관 적 삶의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표달성만족도는 상대적으로 영 향력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코로나19와 세대별 삶의 만족도
2. 주관적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Ⅲ. 연구의 설계
1. 연구문제 및 분석 틀
2. 연구대상 및 연구자료
3. 주요 변수 및 측정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분석대상
2. 신뢰도 분석
3. 기술적 통계와 분산분석
4.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은희 Cho, Eun-Hee.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박사수료
  • 홍상욱 Hong, Sang-Ook.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