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건

COVID-19 이후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Abil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since COVID-19

이윤정, 김경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and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0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Data were collected from 24 July to 1 August 2023,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PROCESS macro model 4 using SPSS/WIN 27.0. As a result of the study, interpersonal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elf-efficacy. Interpersonal ability had a significant total effect(B=0.48, p <.001) o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B=0.20, 95% bootstrap CI=0.06~0.36) and self-efficacy(B=0.17, 95% bootstrap CI=0.05~0.31) was also significant.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research various training programs that can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together in developing programs to help nursing students improve their college life adjustment.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의 병렬다 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 130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2023년 7월 24일 부터 8월 1일까지 수집되었으며, SPSS/WIN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PROCESS macro model 4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인관계능력은 정서지능,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과 양의 상관관계 가 있었다.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에 총효과(B=0.48, p <.001)가 유의하였고, 정서지능(B=0.20, 95% bootstrap CI=0.06~0.36)과 자기효능(B=0.17, 95% bootstrap CI=0.05~0.31)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대 학생활적응 증진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에 정서지능과 자기효능을 함께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구 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방법과 윤리적 고려
2.5 자료 분석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2 대인관계능력, 정서지능, 자기효능과 대학생활적응의 정도
3.3 대인관계능력, 정서지능, 자기효능과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
3.4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의 병렬다중매개효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윤정 Yoonjeong Lee. 혜전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김경아 Kyeong-Ah Kim. 혜전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