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although Japjeo(雜著) and Japmun(雜文) are basically written in a style in which miscellaneous opinions or stories are freely written without a fixed format due to the nature of the writing, they are materials that can provide a glimpse into the author's usual thoughts on the subject of interest, insight into it, and academic attitude. Therefore, we looked into Lee Kwang Sah(李匡師)'s academic tendency, knowledge acceptance method, and verification process that had not been paid attention until now. Lee Kwang Sah(李匡師), a member of Ganghwa School(江華學派) and famous calligraph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id a lot of attention to the fields of Gyeonghak, historical studies, scripture, and phonology in addition to calligraphy and Chinese poetry, and traces of it could be found in Japjeo(雜著)‧ Japmun(雜文) included in 『WonGyojipseon(圓嶠集選)』. As can be seen from Lee Kwang Sah(李匡師)'s remarks, it is undeniable that the academic tendency to criticize ‘Heo(虛)’ and value ‘Sil(實)’ and pursue degree of things and Erudite learning was greatly influenced by Kanghwa study(江華學), which was passed down by Jeong Je du(鄭齊斗) and Yoon soon(尹淳). However, it cannot be asserted that Kanghwa study(江華學) encompasses all of Lee Kwang-sa's academic trends. Individual Lee Kwang Sah(李匡師)'s academic tendency and practice, which are one step away from the category of Kanghwa study(江華學), were most evident in Japjeo(雜著) and Japmun(雜文), which presented their areas of interest and insights. The articles included in Japjeo(雜著) and Japmun(雜文) clearly confirm the academic trend of Lee Kwang-sa, who recognized not only the macroscopic but also the microscopic areas as objects of inquiry. In the article on "Critical Perspective and Logical Approach," Lee Kwang Sah(李匡師)'s rational thinking and meticulous analysi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ere seen. In addition, in the article related to "questioning and dialectic of universal knowledge," the process of correcting existing wrong knowledge was closely seen through presenting clear grounds based on reading and academic, not based on unfounded personal experiences. This knowledge acceptance method and verification process are one of the pillars of Lee Kwang Sah(李匡師)'s actual academic trends along with the academic trends represented by Kanghwa study (江華學).
한국어
이 글에서는 雜著‧雜文이 기본적으로 글의 성격상 일정한 체재 없이 잡다한 의견이나 이야기를 자유롭게 쓴 문체이지만, 관심 대상에 대한 저자 의 평소 생각이나 그에 대한 식견 및 학문 태도를 엿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 착안하여 지금까지 주목하지 않았던 이광사의 학문 경향 및 지식수 용 방식과 검증 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江華學派의 일원이자 조선 후기 서예가로 저명한 이광사는 서예와 詩 文이외에도 經學·史學·文字學·韻學분야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는데, 『圓嶠集選』에 수록된 雜著‧雜文에서 그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이광사의 언 급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무엇보다도 ‘虛’를 비판하고 ‘實’을 중시하는 학문 경향과 名物度數와 博學을 추구하는 학문 경향이 鄭齊斗와 尹淳에 게 전수받은 江華學에 많은 영향을 받았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지만 江華學이 이광사의 학문 경향을 모두 포괄한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江華學의 범주에서 한 걸음 벗어난 이광사 개인의 학문 경향과 실 제는 자신의 관심 분야와 그에 대한 識見을 제시한 雜著와 雜文에서 가장 뚜렷이 드러난다. 雜著와 雜文에 수록된 글에서는 거시적인 영역뿐 아니라 미시적인 영역까지 탐구 대상으로 인식했던 이광사의 학문 경향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비판적 시각과 논리적 접근’과 관련한 글에서는 지식과 정보를 대 하는 이광사의 합리적 사고와 치밀한 분석력을 엿볼 수 있고, ‘보편적 지 식에 대한 의문과 변증’과 관련한 글에서는 개인적 경험이 아니라 독서와 학술을 바탕으로 명확한 근거 제시를 통해 기존의 잘못된 지식을 바로잡 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지식수용 방식과 검증 과정은 바로 江華學으로 대변되는 이광사의 학문 경향과 함께 그의 실제적인 학문 경향을 엿볼 수 있는 또 다른 축이라 하겠다.
목차
Ⅰ. 머리말
Ⅱ. 江華學과 李匡師의 학문 경향
Ⅲ. 李匡師의 지식수용 방식과 검증 과정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