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립중앙도서관 所藏 科試 資料의 현황과 의미

원문정보

The current status and meaning of data related to the Gwageo of Joseon Dynasty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과시 자료의 현황과 의미

김광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gwageo-related data in the Joseon Dynasty and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I researched and listed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introduced materials worth researching by subject. As a result of the survey, about 200 gwageo-related data were identified among about 86,000 ancient documents own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National Library's collection of flaunting materials covers various types, from individual works to yucho, and among them, the anthology of Gwasi(科詩), Gwachaek(科策), Gwabu(科賦), and Gwapyo(科表) was significant. And most of the data were manuscripts. Yongjeongdaedae, a Gwachaek anthologies,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value for research as it collects only excellent Gwachaek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Gwasibunun is a Gwasi anthologies that can understand the trends of Gwasi in the late Joseon Dynasty. Dongui, a collection of Saseoui(四書疑), has a unique significance as comments on the answer are recorded outside the box along with Saseoui questions and answer materials. Jungbang contains very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st. Yuchojip, Gwajeong, categorizes various cod by subject. Yeojuissigwajerok is a material that can examine the learning and transmission of gwageo within a family, with its biggest characteristic that the compiler is clear and has a preface.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enrich the Gwageo of Joseon Dynasty through a multifaceted approach to ostentatious materials.

한국어

이 논문은 조선 시대 과시 자료의 외연을 넓히고 현전 과시 자료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과시 자 료를 조사하여 목록을 작성하고, 주제별로 연구 가치가 있는 자료들을 소개한 것이다. 조사 결과, 약 8만 6천여 종에 이르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고문헌 중 에서 약 200여 건의 과시 자료가 확인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과시 자료는 개별 작품 선집에서 유초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망라되 어 있으며, 그중에서 科詩와 科策, 科賦, 科表선집의 비중이 크고 필사 본 자료가 중심이라는 점이 큰 특징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과시 자료 중 과책 선집인 『龍庭大對』는 16-7세 기 우수 대책들만을 모아 놓아서 연구의 가치가 크다고 평가된다. 『科試 分韻』거질의 과시 선집으로 조선 후기 과시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 는 자료이다. 四書疑선집인 『東疑』는 사서의 문제와 답안 자료와 함께, 답안에 대한 평문이 난외에 함께 기록되어 있어서 독특한 의의를 지닌 다. 과부 선집인 『衆芳』은 시험 정보가 매우 상세하였고, 類抄集인 『科程 등은 다양한 對句들을 주제별로 분류 수록하여, 과거에서의 騈儷文 을 작성하는데 유용한 참고가 되는 자료이다. 『驪州李氏科第錄』은 편저 자가 분명하고 서문을 갖춘 과문 선집이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으로, 한 가문 내에서의 과시 학습과 전승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향후 과시 자료에 대한 다각도의 접근을 통해 조선 시대 과거 문화사 를 좀더 풍성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과시 자료의 현황과 그 특징
Ⅲ. 주요 자료 소개
Ⅳ. 과시 자료 연구의 몇 가지 과제
Ⅴ. 맺음말: 과시 자료 활용법에 대한 推論을 겸하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광년 Kim, Kwangnyeon.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