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편지를 통한 18세기 가족공동체의 소통양상 − 순암 안정복가 3대의 가족 간 편지 분석 −

원문정보

Communication aspect of family community in the 18th century through letters - Analysis of letters between three generations of the Sunam Ahn Jung-bok family

이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amily community in the Joseon Dynasty was not simply a blood-related community, but also a community of life that concretely realized the Confucian ideology. That's why the bond between family members was more important than in modern times. And in order to maintain this bond, it was necessary to share a lot of information with each other. However, when these family members are separated due to unavoidable circumstances, they need a device to maintain a strong bond between them. that's the letter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what kind of information was exchanged between family communities, which were separated by physical distance in the 18th century, and strengthened family ties through letters. For this work, letters exchanged between three generations of the Sunam An Jeong-bok family from Ahn Seo-woo (安瑞羽, 1664-1735) to Angeuk (安極, 1696-1754) and An Jeong-bok (安鼎福, 1712-1791). was analyzed. Letters between family members of the Ahn Jeong-bok family were evenly distributed from the early 18th century to 1754 when An Geuk di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s contained in these letters, the most important 31 cases were related to family management, the most important role of the head of household. Regarding family management, the most frequently described cases were ‘tax payment (納稅), patient (還上), and land (賭地)’. One of the important roles of the head of household was to supervise the family's disease management and treatment. There were a total of 29 cases related to family diseases that appeared in the letter. Among the letters between the families of Sunam An Jeong-bok family, there were 6 Korean letters written next to the Chinese letters. Letters with multiple senders or recipients, such as Sunam Anjeongbokga, appear in most family letters, and are an effective means for exchanging necessary information between family members who are separated. And this is also a device to prevent female family members who do not know Chinese characters from being alienated from the information that families need to share.

한국어

조선시대의 가족공동체는 단순히 피를 나눈 혈연공동체일 뿐 아니라 유교의 이념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삶의 공동체이었다. 그만큼 현대보다 가족 구성원들 사이의 유대가 중요했다. 그리고 이 유대를 유지하기 위해 서는 서로 많은 정보들을 공유하는 것이 필요했다. 그런데 이러한 가족구 성원들이 불가피한 사정으로 떨어져 있게 될 경우, 구성원들에게는 가족 간에 끈끈한 유대를 이어갈 장치가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편지이다. 이글에서는 18세기에 물리적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게 된 가족공동체 가 편지를 통하여 어떤 정보를 주고받으며 가족 간의 유대를 공고히 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 작업을 위해서 순암 안정복가의 안서우(安瑞羽, 1664~1735)에서 안극(安極, 1696~1754), 안정복(安鼎福, 1712~1791)으로 이어지는 3대에 걸쳐 가족 간에 주고받은 편지를 분석하였다. 안정복가의 가족 간 편지들은 18세기 초부터 안극이 사망하는 1754년 까지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이 편지들에 담긴 사건을 분석한 결과, 가 장의 가장 중요한 역할인 가정경영에 관한 내용이 31건으로 가장 많았다. 가정 경영에 관해서는 ‘납세(納稅), 환자(還上), 도지(賭地)’에 대한 사건이 가장 많이 기술되어 있다. 가족들의 질병관리 및 치료 등을 주관하는 것도 가장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였다. 편지에 나타나는 가족 질병 관련 사건은 총 29건이었다. 순암 안정복가의 가족간 편지 중에는 한문편지 옆에 병기된 한글편지 6통이 있었다. 이들 한글편지들은 가족의 질병 및 출산과 관련된 것이었 다. 순암 안정복가처럼 발신자나 수신자가 복수인 편지 형식은 대부분 가 족 간의 편지에서 나타나는데, 떨어져 있는 가족구성원들이 각각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는데 효율적인 수단이다. 그리고 이는 한문을 알지 못하는 여성 가족구성원이 가족들이 공유해야할 정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편지 작성시기 순암 안정복가 3대의 삶의 장면들
Ⅲ. 한문편지를 통한 가족공동체의 소통 양상
Ⅳ. 한글편지를 통한 가족공동체의 소통 양상
Ⅴ. 결론
순암안정복가 가족간 편지 목록
<참고문헌>
Abstracr

저자정보

  • 이현주 Lee, Hyeon Joo.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