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연 옥사에 관한 두 편의 서사와 증언의 재구성

원문정보

The reconstruction of two narratives and testimonies on the major criminal case of Yu Yeon

김정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ee Hang-bok(李恒福)'s "Yuyeonjeon"(柳淵傳) and Kwon Deuk-ki(權得己)'s "Isaengsongwonrok"(李生訟冤錄) are narratives designed with the intention of letting the world know the unjust death of Yu Yeon and Yi Ji(李禔), respectively. In this paper, we tried to examine the intentions and purposes of the characters who planned and narrated two works, and to re-examine the reality of the narrative about the major criminal case of Yu Yeon through narrative strategies to realize the intention. The foundation of "Yuyeonjeon" is a pedigree[家乘] built by the wife of Yu Yeon, Mrs Lee, and "Isaengsongwonrok" makes a brief correction "Songwon"(頌 冤) written by Eon-yong(彦容), the son of Yi Ji, and adds the background and emotion of the book. However, at that time, Lee's pedigree was criticized for being unreliable because it was written in ‘Eonja’[諺字] by a woman, relying on rumors. In order to break away from the subclass’s nature of the pedigree, Mrs. Lee planned the textualization of intellectuals, and the "Yuyeonjeon," narrated by Lee Hang-bok, stabilized the unfair death of Yu Yeon as a solid fact. Meanwhile, Lee Eon-yong planned the "Isaengsongwonrok" with the intention of undermining the credibility of "Yuyeonjeon," which attributed the responsibility of the major criminal case of Yu Yeon to his father, and spent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criticizing the wrongdoing of "Yuyeonjeon." However, Yi Ji's unfair death remained a minority opinion on the major criminal case of Yu Yeon, to the extent that even Kwon Deuk-ki, the author, doubted it. "Yuyeonjeon" accumulated negative testimonies from the surrounding figures one by one, proving that Yi Ji was behind Yu Yeon's painful death, which converged to a factual level and continued to be reproduced in the narrative of the major criminal case of Yu Y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 the other hand, "Isaengsongwonrok" used a narrative strategy to remove Yi Ji’s false accusation by refuting the testimonies of the surrounding figures who pointed out Yi Ji as the culprit, but its presence was minimal, perhaps because it was seen as excessive self-defense. The intention of the planner who planned the narrative is hidden behind conflicting testimonies and claims. Through this paper, we hope to take a step closer to the reality of the narrative about the major criminal case of Yu Yeon.

한국어

이항복(李恒福)의 「유연전(柳淵傳)」(1607년)과 권득기(權得己)의 「이생송원 록(李生訟冤錄)」(1609년)은 각각 유연(柳淵)과 이지(李禔)의 원통한 죽음을 세 상에 알리려는 의도 아래 기획된 서사이다. 본고는 두 편의 작품을 기획, 서 사화한 인물들의 의도와 목적을 면밀히 살피고, 그 의도를 구현하기 위한 서 사 전략을 통해 유연 옥사에 관한 서사의 실체를 재조명한 것이다. 「유연전」의 토대가 된 것은 유연의 처 이씨(李氏)가 지은 가승(家乘)이고, 「이생송원록」은 이지의 아들 언용(彦容)이 지은 「송원(訟冤)」을 권득기가 산 삭(刪削)한 뒤 저술 배경 및 감회를 덧붙인 것이다. 그런데 당시 이씨의 ‘가 승’은 ‘일개 부인’이 ‘소문’에 의지하여, ‘언자(諺字)’로 작성한 것이므로 믿을 수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가승’이 지닌 ‘하위성’을 탈피하기 위해 이씨 부 인은 ‘지언자(知言者)’의 ‘문자화’를 기획했으며, 이항복이 서사화한 「유연전」 은 유연의 억울한 죽음을 공고한 사실로 안정화하였다. 한편 이언용은 유연 옥사의 책임을 자신의 부친에게 돌리는 「유연전」의 신뢰성을 훼손하려는 의도 아래 「이생송원록」을 기획했으며 상당 분량을 할애하여 「유연전」의 오류를 비판하였다. 그러나 이지의 억울한 죽음은 서술자인 권득기조차도 의심할 정도로 유연 옥사에 관한 소수 의견으로 남았다. 「유연전」은 이지에 대한 주변 인물들의 부정적 증언을 하나하나 축적하 여 유연의 원통한 죽음 뒤에 이지가 있음을 증명하였고, 이는 사실 차원으 로 수렴되어 조선 후기 유연 옥사에 관한 서사에서 지속적으로 재생산되었 다. 반면 「이생송원록」은 이지를 범인이라 지목한 주변 인물들의 증언을 하 나하나 논박하면서 이지의 누명을 벗겨 나가는 서사 전략을 구사하였으나 과도한 자기변호로 비춰진 탓인지 그 존재감은 미미하였다. 상반된 증언과 주장 뒤에는 그 서사를 기획한 기획자의 의도가 숨겨져 있다. 본고를 통해 유연 옥사에 관한 서사의 실체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논의의 필요성
Ⅱ. 유연 옥사에 관한 서사와 기획 의도
Ⅲ. 증언의 재구성을 통한 진실 규명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녀 Kim, Jeong-nyeo.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강의전담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