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건강기능 식품 시장은 2022년 국내 시장 규모가 6조 원을 넘어섰으며 매년 꾸준히 상승중 이다. 이러한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코로나19를 기점으로 명확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코로 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자신 및 가족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비대면 서 비스의 확대로 스스로 증상을 판단하고, 정보를 탐색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일반의약품 및 건강기능 식품을 구매하는 셀프메디케이션 소비자들이 증가하였다. 이런 셀프메디케이션 트 렌드에 맞춰 소비자들이 좀 더 쉽고, 정확하게 나에게 맞는 건강기능식품을 찾는 것에 도움 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의 맞춤형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국내 시장에 도입되기 시작했다. 건강 기능식품 맞춤서비스는 제공은 개인의 건강상태 및 요구도를 파악하는 확인 단계, 개인 건 강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을 추천하는 단계, 적절한 생활 습관 코칭 및 식이 지침을 종합적으로 제안하는 서비스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 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기능식품 시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례들을 분석하고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단계별로 앞으로의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