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golf caddy competency units and competency unit elements presented b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overall golf develop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raining and professionalism. [Method] Based on the golf caddy competency unit presented b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a pair comparison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and 28 experts were surveyed, and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VER 21.0 and Microsoft Excel 2016. [Result] According to the results, game safety was the most important in the evaluation area, game situation identification in game preparation, course-specific game progress in game progress, customer service, emergency response in game safety, cart driving in golf carts, putting green sub in golf club sub, and delivery of customer golf goods at the end of the game. In the combined weight of all evaluation items, the highest importance was found in the order of emergency response, economic safety information, and putting green sub. [Conclusion] For the continuou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golf caddies, the operation of golf caddies training programs and job trai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rgently needed.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한 골프캐디 능력단위와 능력단위요소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전 반적인 골프 발전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골프캐디의 양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결과도출을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제시한 골프캐디 능력단위를 토대로 계층구조도와 쌍대비교 설문지를 개발하고 전문가 2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WIN VER 21.0, Microsoft Excel 2016을 활용하였다. [결과]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평가영역에서는 경기안전이, 평가항목별로는 경 기준비에서 경기상황파악, 경기진행에서 코스별경기진행, 고객서비스에서 고객응대, 경기안전에서 응급상황대처, 골 프카트활용에서 카트운전, 골프클럽서브에서 퍼팅그린서브, 경기종료에서 고객골프용품전달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전체평가항목 복합가중치에서는 응급상황대처, 경기안전안내, 퍼팅그린서브 순으로 가장 높은 중요도가 나 타났다. [결론] 골프캐디의 지속적인 양적․질적 발전을 위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골프캐디 양성프로그램 운영과 직무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계층구조 설정
2. 조사절차 및 계층구조도
3. 자료처리 및 일관성 검증
결과
1. 평가영역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2. 평가항목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3. 복합가중치를 이용한 전체 평가항목 우선순위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