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경산 임당고분 출토 금동제 조익형관식의 제작기법 연구

원문정보

Manufacturing Techniques of Gilt-copper Crown Ornament with a Bird Wing-shaped Decoration Excavated form Ancient Tomb in Imdang, Gyeongsan

이재성, 김미현, 박영환, 김현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ncient tombs in Imdang of Gyeongsan, a representative historic site of Silla culture, are a group of ancient tombs built by local powers of Sil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existed fragmentarily in written records as the tomb of the ruling class in Apdokguk(押督國). In the ancient tomb Imdang 1A, where the appearance at the time of the burial was confirmed, the gilt-copper crown ornament with a bird wing-shaped decoration was excavated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Silla and the ruling powers in the local provinces. This the gilt-copper crown ornament with a bird wing-shaped decoration was produced in the order of ① cutting and making of each component, ② carving circular patterns, ③ gilding, ④ joining the front and wing ornament, ⑤ punching for wire connection, ⑥ attaching the spangles. The front, wing ornament and circular spangles(Dalgae) were made with a thin copper plate, and the front and wing ornament overlapped each other with a size of about 5 mm. And it was jointed with three metal rivets with a square cross section. The circular patterns, carved on the border between the front and wing ornament, was carv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dot by chisel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round-tip carving tool. The gilt-copper wire used to connect the spangles(Dalgae) was first thinned by hammering. After that, thinner and more uniform wires in thickness was drawn using the drawing technique. The gilt-copper wires were inserted into the spangles(Dalgae) and twisted three times so that they were of similar length. The wing ornament and circular spangles were gilded with a thickness of 3 to 5 μm, and the gilded l ayer o f the wire w as t he t hinnest at 1 t o 4 μm. To m anufacture t he g ilt-cop per c rown ornament with a bird wing-shaped decoration, the form was made with copper as the basic material and the surface was gilded with the amalgam gilding technique that mixes gold and mercury.

한국어

신라 문화권의 대표 유적 중 하나인 사적 경산 임당동 고분군은 삼국시대 신라의 지방 세력이 축조한 고분군으로 문헌 기록에 단편적으로 나오던 압독국 지배층의 무덤이다. 매장 당시의 모습이 그대로 확인된 임당 1A호분에서는 중앙 신라와 지역 지배세력과의 관계를 보여 주는 금동제 조익형관식이 출토되었다. 이 금동제 조익형관식은 ‘각 구성품의 가공 및 성형 → 점열문 시문 → 도금 → 전립식과 날개장식 조립 → 달개 부착 위치 타공 → 원형 달개 부착’ 순서로 제작되었다. 얇은 동판으로 전립식과 날개장식, 원형 달개를 만들고, 전립식과 날개장식은 서로 5 mm 정도의 크기로 겹치게 덧대고, 정방형 금속 리벳 3개로 조립하였다. 전립식과 날개장식의 테두리에 시문된 점열문은 끝이 둥근 새김 도구를 수직 방향으로 쪼아 원형의 점 모양으로 새겼다. 원형 달개의 연결에 사용된 금동선은 먼저 망치질로 가늘게 늘린 뒤, 인발기법으로 더 가늘고 균일한 두께의 선을 뽑았다. 이 금동선을 원형 달개에 끼우고 세 번 꼬아 서로 비슷한 길이가 되도록 하였다. 날개장식과 원형 달개는 3∼5 μm의 두께로 도금하 였으며, 금동선의 도금층은 1∼4 μm로 가장 얇았다. 금동제 조익형관식은 동판을 기본 소재로 형태를 제작하고, 금과 수은을 섞는 아말감 도금법으로 표면을 도금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
2.2. 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형태 제작 및 구성품 결합 방법
3.2. 구성품의 재질 및 도금 방법
4. 고찰
4.1. 구성품의 조립
4.2. 금동선 제작기법
4.3. 도금 기법
5.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재성 Jae Sung Lee.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김미현 Mi Hyun Kim.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박영환 Young Hwan Park.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김현우 Hyun Woo Kim. (주)한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