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ffects of Singing-Oriented Tele-Music Therapy on the Reduction of Pet Loss Syndrome in Women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singing-oriented Tele-music therapy affects the reduction of symptoms in women experiencing Pet loss syndrome such as depression due to the loss of pe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 female pet owners who lost their pet within one year and had a depression score of 21 or higher. Among them, 7 peopl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7 people to the control group, and 40 minutes once a week for 6 weeks, a total of 6 singing-oriented Tele-music therapy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and no related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to the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tools used the Pet beavement questionnaire (PBQ) developed by Hunt and Padilla (2006) and the Prolonged Grief Disorder Scale (PG-13) developed by Prigerson and Maciejewski (2008) and validated by Kang Hyun-sook and Lee Dong-hoon (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ompanion animal mourning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its prolonged grief disorder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inging-oriented Tele-music therap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symptoms caused by Pet loss syndrome in women due to the loss of pets.
한국어
본 연구는 노래 중심의 비대면 음악치료가 반려동물 상실로 인해 우울 등 펫로스 증후군을 경험하는 여성들의 증상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반려동물을 상 실한 지 1년 이내이며 우울 점수 21점 이상의 여성 반려인 14명이다. 이 중 실험집단은 7명, 통제집단은 7명으로 임의 배정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6주간 주 1회 40분, 총 6회의 노래 중심 비대면 음악 중재를 시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관련 중재를 시행하지 않았다. 측정도구는 Hunt 와 Padilla(2006)가 개발한 반려동물 애도 척도(Pet bereavement questionnaire: PBQ)와 Prigerson과 Maciejewski(2008)가 개발하고 강현숙과 이동훈(2017)이 타당화한 비애 장애 진단 척도(Prolonged Grief Disorder Scale: PG-13)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 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반려동물 애도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지속비애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래 중심 비대면 음악 활동이 반려동물 상실로 인한 여성의 펫로스 증후군으로 인한 증상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및 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설계 및 과정
4. 프로그램 구성
5.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반려동물 애도 점수 분석 결과
2. 지속비애 점수 분석 결과
3. 우울점수 분석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