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대학생으로서 진로교육 및 진로 적응 활동 경험이 졸업 후 니트 예방에 주는 효과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perceived support of Career Education on career adaptability activities as an undergraduate student and not falling into a NEET after graduation. Data were from the 2019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9GOMS). A total of 5,663 graduates from 2-3 year colleges and 4-year universities who were under 30 years old were finally analyzed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SEM. Perceived college support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activities as a student were set predictor variables, and falling into a NEET was set as an outcome variable.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latent variables of the hypothesized model were calculated.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model fitted the data well; that perceived college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on career adaptability activities. Career adaptability activities showed positive impact on preventing graduates from falling into a NEET. Based i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s a student are discussed.
한국어
이 연구는 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대학 생활 동안 학교에서 지원하는 진로교육 및 취 업 준비 지원에 대한 도움인지 정도가 진로 적응 활동과 졸업 후 니트 예방에 어떠한 효 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의 2019GOMS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 졸업자를 중 심으로 대학 생활 동안 취업 준비 관련 활동 경험이 있는 응답자 총 5,663명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먼저 각 변수에 사용된 문항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각 연구 변인의 적합한 문항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추출된 요인 문항을 적용하여 인지된 대 학지원 정도, 진로 적응 활동, 니트의 세 가지 가설의 잠재 변수 간 경로계수를 구조방정 식(SEM)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한 세 변수 간의 모델은 데이터에 잘 부합하였다. 2~3년제 대학 졸업자, 4년제 대학 졸업자,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 졸업자의 각각의 모델 에서 대학생으로서 진로교육 및 취업 준비 활동에 대하여 졸업자가 인지하는 대학 지원의 정도는 진로 적응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니트를 예방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진로 적응 활동은 대학 졸업 후 니트로 전락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주 어 대학생으로서 경험한 진로 적응 활동은 졸업 후 니트가 되는 것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학교의 진로교육과 학생의 진로 적응 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비카스(Savickas)의 진로구성주의 이론과 진로 적응력
2. 니트(NEET)
3. 대학의 진로교육 및 취업 준비 지원과 졸업 후 니트 경향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2. 연구 변수 측정 도구
3.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연구 변수별 기술통계 및 니트 현황 결과
2. 요인분석 결과
3. 니트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