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5th to 6th Grade Ethics of Elementary School -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lly analyze the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moral textbook. The research method is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used Textbooks, guidebooks, etc. were used. The analysis criteria used Merrifield’s seven frames of reference,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not been accurately defined in schools. Second, in current education, content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is not included in regular achievement standards, but ratherParts contained in existing textbooks. There were a lo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elements covered in moral textbooks were redundant and limited in scop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oral subjects We hope that this will be of practical help in constructing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2015 개정 도덕 교과서 중 세계 시민교육 내용을 전반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교과서, 지도서 등을 활용하였다. 분석 기준 은 메리필드의 일곱 가지 준거 틀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세계 시민교 육에 대해 정확하게 학교 현장에서 개념 정의가 되어있지 않다. 둘째, 현재 이루어지는 교육에 서 세계시민과 관련된 내용은 정규 성취기준에 편성되어 이루어지기보다는 기존 교과서에 녹아 있는 부분이 많았다. 셋째, 도덕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 요소가 중복적이고 범위가 한정 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초등 5~6학년 군 도덕 교과에서 세계시민교육 내용을 구성하 는 데 있어 실제적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세계 시민교육의 정의
2. 초등 도덕 교육에서 세계 시민교육의미
3. 메리필드의 이론적 논의
Ⅲ. 세계 시민교육 내용 분석
1. 5, 6학년 도덕 교과서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