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치교육과 정치참여교육에 관한 담론과 함의

원문정보

Discourse on Political Educ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허영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result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 discourse on political educ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The bottom line of this article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in the light of basic procedure of political education (i.e. cognition (analysis) - judgment – action),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can be interpreted as a course of action concentrated on developing action competence of learner, presupposing the abilities of cognition (analysis) and judgment. Second, political action competence and participation are based on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the one hand, and oriented to activities in the sense of following the didactic principle of activity-oriented learning on the other. Third, participation lies in the context of school culture, it appears concretely in the concept of co-determination or co-rule, and so becomes an important element for participatory self management of school. But we have to keep in mind, that co-determination can function within the framework of competence, jurisdiction or responsibility of state and public administration. Fourth, we can consider, for example, competence model, criteria of political judgment, connection between concrete and abstract learning level, inclusive approach and election education as relevant approaches or alternatives of political educ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정치교육과 정치참여교육에 관한 동향과 담론을 살펴보고 그 함의를 도출하는 데 놓여 있다. 이 글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사항을 몇 가지 명제로 정식화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교육 절차의 기본원칙, 즉, 인식(분석)-판단 -행위의 틀 속에서 살펴볼 때, 정치참여교육은 학습자의 인식(분석)능력과 판단능력을 전제로 하면서 학습자의 행위역량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 교육적 방책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여기서 정치적 행위역량과 참여는 정보와 지식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활동지향학습의 교수학습원칙에 따른다는 의미에서 활동에 지향을 두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참여는 민주적인 학교문화의 맥락에 놓여 있으며, 학생의 공동결정이 라는 개념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나며, 이 공동결정은 학교의 참여적 자치관리를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이것은 학교제도에 대한 국가적․행정적 관할과 권한 혹은 책무의 틀 속에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정치교육과 정치참여교육의 접근방안 혹은 대안으로는 역량모형, 정치적 판단기준, 구체적 학습과 추상적 학습의 연결, 포용적 접근방안, 선거교육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학교교육의 기본적인 과제로서 정치교육과 정치참여교육
Ⅲ. 정치교육과 정치참여교육의 관계
3. 참여
Ⅳ. 정치교육과 정치참여교육의 접근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허영식 Young-Sik Huh. 청주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