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센만요슈(新撰万葉集)』에 있어서 계절 표현의 방법 - 『만요슈(万葉集)』의 계승과 선구적 양식화 -

원문정보

The Methods of Seasonal Expression in Sinsen Manyoshu: Succession of Manyoshu and Its Leading Stylization

박일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asonal classification has been a standardized form in compiling a collection of poems since Kokinwakashu. Also, its refined style contributes to building the base of stylization, which is attempted by Sinsen Manyoshu. In other words, the leading stylization in the literary seasonal classification methods is made by Sinsen Manyoshu. It helps to clarify the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Waka, based on time and aesthetic boundary of four seasons. Furthermore, Sinsen Manyoshu has inherited traditional seasonal and scenery expressions in describing the poems since Manyoshu and it has also served as a leading guide to how the similar lyrics and intelligent expressions were made in Heian period. Sinsen Manyoshu is the origin of the change as well as the poetic closure of traditional rhetoric, Makurakotoba and also Kakekotoba, based on the semantic duplicity of language, is standing as a central rhetoric in Sinsen Manyoshu. Mitate makes us find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mental imagery in the poem, going further to enhance the vivid imagery and deepen the empathic understanding. Thus, It is also being used as a crucial rhetoric along with Kakekotoba in Sinsen Manyoshu. For such a reason, the direction of ideation, which became a methodical center of Waka during Heian period, creates ideological shadowy image beyond concreteness and reality through the reduplicated rhetoric and personification. Therefore, Waka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a collection of poems. This is what we call Sinsen Manyoshu.

한국어

『고킨와카슈』 이후의 가집 편찬의 규범적 형식이 된 사계절 분류는 바로 『신센만요슈』에 의해 정제된 형식으로 시도되고 그 양식적 기초를 갖추게 되었다. 사계의 시간적・미적 경계 를 의식하며 이에 근거하여 와카 분류와 배치를 명확히 하는 ‘문예적 계절 분류 방법’의 선구 적 양식화는 『신센만요슈』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신센만요슈』는 『만요슈』 이래의 전통 적 계절어와 서경 표현을 이어받으면서, 이를 하나의 유형으로서 고정화하는 길을 열어 헤이 안시대의 와카의 유형적 가어와 이지적 표현의 방법에 대한 선험적 길잡이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수사법인 마쿠라코토바의 시학적 종언이면서 동시에 변화의 시발점이 된 가집이 『신센만요슈』이며, 언어의 중층성에 근거하는 가케코토바는 『신센만요슈』에서는 이미 중심적 수사법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고 있다. 물상과 심상 사이의 새로운 관계성을 발견하 게 하며 그 이미지의 선명성을 강화하고 공감의 깊이를 더하는 미타테 또한 『신센만요슈』에서는 가케코토바와 함께 중추적 수사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중층적 수사법과 의인 화를 통해 구상성과 실재성을 넘어서는 관념적 음영을 만들어 내는 관념화의 방향은 헤이안 시대 와카의 방법적 중심이 되는데, 그 선구적 위상을 가지는 가집이 『신센만요슈』라고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며
2. 사계절 분류의 양식화
3. 계절 표현의 계승과 유형화
3.1. 매화와 꾀꼬리 -시간성의 포착과 마음의 표상-
3.2. 두견새와 창포꽃 -실경적 제재에서 심정적 제재로-
3.3. 이슬과 단풍 -탐미적 표상의 관념화-
3.4. 눈과 꽃 -즐거움의 서경에서 언어 속의 이지적 풍경으로-
4. 수사법의 변화와 개척
4.1. 마쿠라코토바의 퇴조와 변화
4.2. 가케코토바의 부상
4.3. 미타테의 중시
5. 나가며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박일호 Park, Ilho. 성신여자대학교 일본어문‧문화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