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중어가 된 ‘전후민주주의’와 ‘상징천황’ - 일본적 은어(隱語) 텍스트 『세카이』 -

원문정보

Japan’s ‘Post-War Democracy’ and ‘Symbolic Emperor’ Which Have Become popular Words : Japanese Jargon Text of Sekai

전성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istinguishes between the term ‘post-war democracy (jeonhuminjujuui),’ which is generally used, and the term post􋹲war (jeonhu) ‘democracy’ (minjujuui) and intends to show the theory of Japan’s symbolic emperor implied in the term ‘post􋹲war democracy.’ When Japan was ruled by the US General Headquarters, the war was not over yet and there was a continuation of war. Japan was a ‘colony’ until it became a sovereign country after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1952. During that period, the logic of the colonized subject to American democracy and Japanese ‘post-war democracy’ was established. Meanwhile, the first issue of ‘Sekai’ was published and those who led the post-war democracy thought, such as Tsuda Sokichi, Watsuji Tetsuro, Maruyama Masao, and Otsuka Hisao contributed to the journal. Tsuda argued for a Japanese emperor as a human being, saying that the Japanese emperor already had a symbolic meaning as a priest even before a state was formed. Similarly, Watsuji Tetsuro argued that Japanese feudalism and Shinto doctrine are distinct from the Emperor system, and the logic of filial piety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originated from shogun politics and thus were distinct from the Emperor system. Watsuji argued that individuals’ will or freedom appears as the collective will, which is a Japanese emperor. Otsuka Hisao cited Max Weber and assumed and explained that since primitive times, the magic in people had confined people’s consciousness and the way one gets out of it is the process of rationalization. That is the liberation of humans, and he argued that it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aspect of inside the people, not ‘mere individuals.’ Meanwhile, Maruyama said that Japan lacked a critical spirit. Critical spirit was a revisit to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of ‘democracy’ and the inheritance of a Western critical spirit with which people created new democracy. Those discussions were made in ‘Sekai,’ and the contributors planned post􋹲war democracy as a meaning of a Japanese nation. They explained the symbolic emperor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will of the people and citizens, while keeping the feudality in the state of the ‘continued Emperor system.’

한국어

본 글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후민주주의’라는 용어를 전후 ‘민주주의’’라는 말과 구별 하여 사용하고, 이 ‘전후민주주의’라는 용어 속에 담지된 ‘상징천황론’을 보여주고자 한다. GHQ의 점령 상황은 아직 전후가 아니라 전쟁의 연속상태였고,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 약 체결 후 주권국가가 되기 전까지는 ‘피식민지’였다. 따라서 이 시기는 미국식 민주주의에 종속되는 피식민자라는 논리와 일본식 ‘전후민주주의’를 구축하게 되었다. 이 배경 속에서 『세카이』가 창간되고, 여기에는 ‘전후민주주의’ 사상을 이끌던 쓰다 소키치, 와쓰지 데쓰로, 마루야마 마사오, 오쓰가 히사오 등이 글을 싣고 있었다. 쓰다는 일본의 천황은 국가나 형성 되기 이전에 이미 제사장으로서의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었다고 논하면서, 인간으로서의 천 황을 주장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와쓰지는 일본의 봉건제도와 신도적 교의가 천황제와는 별개의 것으로, 충효 논리나 군신관계 등은 무사들에 의한 쇼군(将軍) 정치에서 나온 것으로 천황과는 별개라고 주장한다. 와쓰지는 개인의 의지나 자유는 전체의지로 나타나는 것으로 이것은 바로 일본의 천황이었다고 논한다. 그리고 오쓰카는 막스 베버를 가져오면서 원시시 대부터 갖게 된 매직이라는 것이 인간의 의식을 가두어 온 것으로, 그것으로부터의 빠져나오 는 방식을 합리화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그것이 인간의 해방이었는데 이는 ‘단순한 개개인’이 아니라 민중의 안(裡)에서 해석되어야 한다는 논리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마루야마는 일본 에게 부족한 것은 비판정신으로, 이는 ‘민주주의’가 형성된 역사를 재조명하고 그것 안에서 새로운 민주주의를 만들어 온 서구적 비판정신의 계승이었다. 결국 『세카이』에서는 일본적 네이션 구축의 시작점으로서 ‘전후민주주의’를 구상하는 것이었고, 그 속에 ‘상징천황’을 민 중, 시민, 인민의 의지로 표상하면서 ‘천황제’를 상태적(常態的)인 것으로 치환하는 은어적 내 부 식민성을 걷어내지 못했던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패전’과 ‘전후민주주의’
1.1. ‘전후민주주의’라는 일본적 ‘은어’의 탄생
2. 『세카이』의 등장과 ‘전후민주주의’의 시작
3. 교차하는 탈역사적 시각과 비판의 토르소(torso)
4. 부정으로서 ‘가족국가론’과 ‘애국론’의 재등장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전성곤 JUN SUNGKON.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HK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