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dependence on activity of daily life (ADL),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in older adul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DL dependence. Methods: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015 data from an older adult cohort database (DB)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ose who received a diagnosis of dementia more than once between 2002 and 2015 and had a grade of 1 to 5 in terms of long-term care service were selected. In addition, a total of 12,363 data were used for analysis. Cognitive function, BPSD, and ADL dependence were extracted. A path model was establish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major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DL dependence, and the direct effects of each path, the total eff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full model were calculated. Results: As a result of a path analysis, the effect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ADL dependence showed a value of .616 (p < .0001), the effect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BPSD was .199 (p < .0001), and the effect between ADL dependence and BPSD was .039 (p = .0005). The total effect of the path model of the three variables was .223 (p < .0001), and the indirect effect was .024 (p = .0005). In addition,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DL dependence. Conclu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ADL dependence through a path model, the ADL dependenc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BPS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rogram promoting ADL function may be useful for alleviating the BPSD in people with dementi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the need and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와 행동심리증상의 관계 분석 및 일상생 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노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의 2015년 데이터를 활 용하여 이차자료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2015년 장기요양인정신청자 중 2002~2015년 중 치매 상병코드로 1회 이상 진료를 받고 장기요양인정심사 결과 1~5등급 판정을 받은 자를 선별하였 고, 총 12,363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을 위해 전체 변수에서 인지기능, 행동심리증상, 일 상생활활동 의존도를 추출하였다. 세 주요변인 간 연관성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 하여 경로모형을 수립하고 각 경로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및 전체 모형의 총효과를 산출하였다. 결과 : 경로분석 결과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 간 효과값은 .616(p < .0001), 인지기능과 행동심 리증상 간 효과값은 .199(p < .0001),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와 행동심리증상 간 효과값은 .039(p = .0005)으로 세 경로 모두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세 변수의 경로모형 총효과값은 .223(p < .0001)이 었으며, 간접효과값은 .024(p = .0005)으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경로모형을 통해 인지기능과 행동심리증상 간의 관계에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는 인지기능의 저하가 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 로 매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치매 환자의 행동심리증상 완화를 위해 일상생활활동 기능 증진 프 로그램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가 중재의 필요성 및 개발의 근거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분석자료 및 선정기준
2. 주요 변수
3. 통계분석
Ⅲ. 연구 결과
1. 분석자료의 선별
2. 분석자료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의특성
3.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4. 주요 변수 간 경로분석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