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luxury brands have shown interest in the metaverse, using avatars to connect with consumers and create unique brand experiences. However, in the real world, luxury brands are mostly associated with conspicuous consumption. Thus, this study explored whether conspicuous consumption influences the metaverse platform ZEPETO. An online survey targeted ZEPETO users, with 416 respondents analyzed. Metaverse features (presence, interactivity, con-currence, economy) and conspicuous consumption traits (pride, brand oriented factor, need for Status, conspicuousness) were studied as independent variables. Consumer purchase decisions were the dependent variable, mediated by information search. Using SPSS 27.0, the analysis revealed conspicuous consumption's presence in the metaverse. The findings imply luxury companies should consider offering luxury products in the metaverse for conspicuous consumption-oriented consumers.
한국어
최근 명품 브랜드들이 메타버스에 주목하며 아바타를 활용해 소비자와 상호작용하며 독특한 브 랜드 경험을 창출하고 있다. 현실 세계에서는 명품 브랜드가 과시적 소비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ZEPETO 에서도 명품 브랜드가 과시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ZEPETO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416명의 응답자를 분석 대상으로 삼 았다. 메타버스의 특성(실재감, 상호운용성, 동시성, 경제성)과 과시적 소비의 특성(자부심, 브랜드 지 향성, 지위 추구지향, 유행 추구성)을 독립변수로 삼고, 소비자 구매의사결정과정의 정보 탐색을 매개 변수로, 구매 결정을 종속변수로 삼아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설문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 석 결과, 메타버스에서도 과시적 소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과시적 소비를 생각하 고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명품회사들이 메타버스에 명품제품들을 진출시켜서 비즈니스 확장이 가 능하다는 단초를 제공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메타버스의 정의 및 특성
2.2 과시적 소비
2.3 소비자 구매의사결정과정
3. 연구모형 및 가설
3.1 연구모형 설계
3.2 연구가설 제시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 실증분석
4.1 자료수집
4.2 분석 방법
4.3 인구 통계적 특성
4.4 신뢰성 검증
4.5 타당성(validity) 검증
4.6 상관관계
4.7 연구가설의 검증
4.8 매개효과 검증
5. 결론
5.1 연구 결론
5.2 시사점
5.3 한계점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