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Learning Data Science : Focusing on Distribution Management of Management and Finance Subjects
초록
영어
Data literacy is the ability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real life using data and is one of the essential capabilities that citizen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lives closely with digital technology. Commercial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should be a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independently set careers suitable for their talents and aptitudes and systematically develop competencies accordingly.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educational programs for fostering data literacy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in the early stage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applied a data science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Orange 3 and Microsoft Excel. To verify effectiveness, data literacy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the effectiveness of the data literacy teaching-learn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nfirmed and an improvement plan for data science learning of commercia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as derived.
한국어
데이터 리터러시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는 능력으로서 디지털 기 술과 밀접하게 살아가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시민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역량 중 하나이다. 미래 사 회의 상업교육은 학생들이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진로를 주체적으로 설정하고 그에 부합하는 역량 개발 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직업계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는 초기 단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렌지3와 마이크 로소프트 엑셀을 활용하는 데이터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에 적용 전·후 데이터 리터러시 검사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를 독립 표본 t-검증과 종속 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했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데이터 리터러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 고 상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데이터 과학 학습을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데이터 리터러시와 데이터 과학
2. 관련 연구
Ⅲ.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1. 연구 설계
2. 검사 도구
3. 학습 내용 선정을 위한 관련 과목 내용체계 분석
4. 학습자 분석
5. 차시별 학습 목표 설정
6. 교육 자료 개발
7. 전문가 검토
Ⅳ. 연구 결과
1. 검사지 반응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