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전공몰입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Major Commit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강정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college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ffects their major commit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8 college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with the IBM SPSS v23.0 program.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recognized as "normal" or high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jor immer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jor commit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college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ffects major commit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llege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a significant impact on major commit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sub-variables, self-efficacy, hope, and 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jor commitment, and self-efficacy and hope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 major commitment and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전공몰입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진 행하였다. 이번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교의 대학생 288명이며, 수집 자료의 통계처리는 IBM SPSS v23.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전공몰입 및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는 ‘보통이다’ 이상의 수준 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전공몰입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의미 있는 상 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전공몰입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 본 결과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은 전공몰입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하위 변인으로는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탄력성이 전공몰입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고, 자기효능감, 희망은 진 로준비행동의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전공몰입이 향 상되고 진로준비행동을 증진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앞으로 대학생의 긍 정심리자본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여러 변인과 다양한 지역의 더 많은 대상군에 대한 지속적 연구를 제안한다.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문제
II. 이론적 배경
1. 긍정심리자본
2. 전공몰입
3. 진로준비행동
III. 연구방법
1. 연구 자료 및 표본
2. 주요변인에 대한 측정도구
3. 자료 분석 방법
IV. 연구결과
1. 주요변인에 대한 기술 통계
2. 학년에 따른 주요변인 차이 분석
3.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4. 대학생들의 긍정심리자본이 전공몰입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정원 Jung-Won Kang . 신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