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 전기 해상정책 변화와 장영기 세력 궐기의 상관성 연구

원문정보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Maritime Policy and the Rise of Jang Yeong-gi in the Early Joseon Period

김대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ritime trad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which facilitated a literary renaissance in Northeast Asia during the Goryeo dynasty’s reign, rapidly declined during the transition of dynasties from late Goryeo to early Joseon. Joseon and Ming, needed to reform the shipping system, stabilize the governance, and complete centralization, and therefore, implemented a sea blockade policy. However, Japan experienced the Sengoku period spanning about ten years (1467∼1477) when Daimyos struggled for power after the Onin War surrounding the succession to the Shogunate. Such a situation in Northeast Asia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fate of maritime forces that had accumulated immense wealth through maritime trade. However, there was a considerable scarcity of available data to assess this change in maritime powers in charge of East Asian maritime trade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Yet, during a literature investigation, we discovered Jang Yeong-gi, who remains largely unknown and unstudied within the domestic context. Jang Yeong-gi was a member of a bandit group known as the first ‘Daedo (大盜, grand bandit)’ during the era of royal stability under King Yejong and King Seongjong, and is a figure documented 34 times in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King Seongjong classified the Jang Yeong-gi faction as a rebellious force rather than a bandit group. However, unlike later figures such as Im Kkeok-jeong, Hong Gil-dong, and Jang Gil-san, Jang Yeong-gi has not been highlighted or studied. Jang Yeong-gi was born in Muan-gun, Jeollanam-do, and established his group’s base in Hadong-gun, Gyeongsangnam-do. Starting from the islands and coasts of Muan and Sinan, encompassing Jeolla-do, Gyeongsang-do, Chungcheong-do and their archipelago and Hallyeo-waterway, Jang Yeong-gi’s influence extended extensively enough to engage in both regular and guerrilla warfare against government forces. Jang Yeong-gi is important in Korean history in connection with maritime power, set apart from inland power based on peasantry. It was expected to serve 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assessing change in maritime forces under Joseon’s shipping policy. It aimed at achieving complete centraliza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changing maritim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In the future, Jang Yeong-gi would inevitably become a hot topic in medieval Korean history. This is due to its value as historical material and as a one-source multi-use resource with endless potential for utilization. Hopefully, this study will catalyze various future studies on Jang Yeong-gi.

한국어

고려시대 동북아시아 문예 르네상스를 가능케 했던 한․중․일 해상교역은 여 말선초 왕조교체기를 거치면서 급속한 쇠락의 길을 걷게 된다. 조운 제도의 정비 와 정국을 안정시키고 중앙집권을 완성해야 했던 조선과 명은 강력한 해상봉쇄 정 책을 폈고, 일본은 쇼군 가의 후계 구도를 둘러싸고 오닌의 난이 일어난 후 다이묘 들이 패권을 장악하기 위한 분투하던 10여 년(1467~1477)의 센고쿠 시대였다. 이러한 동북아 정세는 해상을 통한 교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해왔던 해상 세력의 존폐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여말선초 동북아 해상 무역을 담당했던 해상세력의 변화양상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는 상당히 부족한 형 편이다. 그런데 문헌 연구 과정에서 국내에서는 거의 알려지거나 연구된바 없는 장영기라는 인물을 발굴하였다. 예종과 성종 등 왕조 안정기에 접어들어 궐기한 최초의 대도(大盜) 무리이기도 한 장영기는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 34회나 기록된 인물이다. 성종은 장영기 세력을 군도(群盜)가 아닌 반역 세력으로 규정했 다. 그러나 후에 등장한 임꺽정, 홍길동, 장길산 등과 달리 조명되거나 연구된 바 없다. 장영기는 전남 무안군에서 태어나 경남 하동군 일대를 세력의 근거지로 하였다. 무안과 신안의 도서와 연안으로부터 시작해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의 내륙과 다도 해와 한려해상을 아울러 정부군과 정규전과 게릴라전을 벌일 정도로 세력권이 광 범위하였다. 장영기라는 인물이 한국사에서 중요한 이유는 농민을 기반으로 한 내륙중심의 세력과 다른, 해상세력과의 연관성이다. 동북아 해상의 정세변화와 사회경제적 중 앙집권을 완성하고자 했던 조선의 조운정책의 변화에 따른 해상세력의 변화양상 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잣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장영기는 중세 한국사에서 핫이슈이자 킬러콘텐츠가 될 수밖에 없다. 사료 적 가치뿐만 아니라 활용 가능한 원소스멀티유즈 자원으로서 가치와 무궁무진한 활용 가능성 때문이다. 이번 연구가 장영기라는 인물에 다양한 연구의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동북아 해상 네트워크의 붕괴와 장영기 세력의 등장
Ⅲ. 조선 전기 조운정책의 변화와 해상세력의 몰락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대호 Kim, Dae-ho. 국립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