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s the activities and identities of Chungbuk Council of Women’s (CCW) leaders based on oral life histories and what impact their activities had on local communities and the Korean society. This paper finds that the leaders were able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paid, thanks to their middle class status and high level of education. By extending women’s familial roles as wives, mothers, and house keepers, the member organizations of the CCW pursued to mak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ir communities and the nation as a whole. While it seems clear that their unpaid services contributed to the welfare and development of their communities, it is unclear if their activities had any influences on enhancing women’s rights and status. However, with political democratization, revival of a local self-governing system, and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the CCW and its member organizations extended their purposes from enlightenment and community services to participation in local governments and the advancement of women’s rights and status.
한국어
이 연구는 충청북도여성단체협의회(이하 충북여협) 대표자들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그들의 활동과 정체성, 그리고 그들의 활동이 지역과 한국 사회에 지닌 의미를 탐색한 다. 연구 결과, 구술자들은 고학력과 중산층 이상이라는 계층적 지위 덕분에 급여를 받지 않으면서도 여성단체 활동을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었다. 충북여협과 소속 단체 들은 여성의 가족 내 지위, 곧 아내/어머니/주부의 역할을 확장함으로써 지역과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들의 무급 봉사활동이 지역의 복지와 발전 에 기여한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이 여성의 권리와 지위 향상에 기여했는지는 불분명 하다. 그러나 정치적 민주화와 지방자치제도의 부활, 여성가족부의 출범은 교육과 봉 사에 전념해왔던 충북여협의 활동을 지방정치 참여, 여성의 지위와 권리 향상으로 확 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목차
1. 서론
1) 문제 제기
2) 방법론
2. 여성단체, 여성에게 할당된 공적 세계
1) 삶의 터전인 충청북도
2) “여자들이 사회에 발을 딛다”
3. 여성으로서 국민 되기
1) 부인, 어머니, 주부이자 국민
2) 교육과 봉사: 여성 국민의 의무
3) “지역에서 나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인정과 명예
4) “재밌지, 아이 집구석 떠나서 그렇게 가는데”:여성들의 연대와 공적 활동의 희열
4. 민주화, 새로운 도전
1) 여성 정치세력화와 참여의 확대
2) ‘진보적’ 여성단체와의 경쟁과 협력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