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in an Art Museum Visit Program to Support Sociocultural Adaptation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design an art museum visit program to support North Korean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To conduct the program, six participants were selected to assess its effectivenes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program directions through supplementary points. For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re conducted. As a result, ‘difficulties of college life’, ‘freshness of viewing culture and arts’, ‘special experiences of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and regions outside of school’, ‘various experiences of communication’, ‘experience of mind healing’, ‘feeling the necessity of cultural life’, ‘discovering the meaning of appreciating art works’, ‘continuity of program’, ‘program diversity’ were identified in 9 upper categories, and 22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 conclusion,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impact of the art museum visit program on the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and other effectiveness of North Korean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program.
한국어
본 연구는 탈북 대학생의 사회‧ 문화적 적응을 돕기 위한 미술관 관람 프로그램을 설 계해 연구 참여자 6명을 모집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효과성과 보완점을 알아보고 향후 프로그램 방향을 제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대상자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인터뷰 내용을 중요한 주제 와 범주를 찾아 분석을 실시 했다. 연구 참여자의 인터뷰 분석 결과 ‘대학생활의 어려 움’, ‘문화예술관람의 신선함’, ‘학교 외 문화예술기관 및 지역에 대한 색다른 경험’, ‘소 통의 다양한 경험’, ‘마음치유를 경험’, ‘문화생활의 필요성을 느낌’, ‘미술작품 감상의 의 미를 발견함’, ‘프로그램의 지속성’, ‘프로그램의 다양성’의 최종 9가지 상위 범주에 대한 22가지 하위 범주가 도출 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미술관 관람 프로그램이 탈북 대학생 연구 참여자의 사회‧ 문화적 적응과 그 외 어떤 의미를 주었는지 논의하고 프로 그램의 보완점을 통해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문제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탈북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2. 미술관 관람의 심리·사회적 효과
Ⅲ. 연구 설계
1. 연구방법 및 연구 참여자 특성
2. 프로그램 내용
3.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미술관 관람의 필요와 관심
2. 미술관 관람의 사회‧문화적 경험
3. 미술관 관람의 긍정적 의미
4. 지속적 참여에 대한 기대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