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제문화교류 지원에 대한 평가 연구 : 2020년 국제문화교류 실태조사의 예산, 인원, 정책, 전담 부서 영역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ssessments about Policy Supports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김보배, 이윤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financial resources, performance methods, and obstacles of businesses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jects. Using the first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survey data, we tried to see how each project entity, worker size, project cost, number of departments in charge of work, and number of professionals correlate with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olicy system. Most businesses have structure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jects as part of additional projects, lacking the departments and professioinals on thi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Second, the lack of necessary budget was the most common obstacle to the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jects, and it was found to be a lack of networks with foreign organizations and artists, and a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Third, looking at the evaluation of policy support methods and systems, there is currently a lack of institutional functions that act as a control tower and a lack of manpower in the area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ere are many studies on social needs and aspects of individual program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ut it was rare to analyze the overall structure in various ways and identify policy factors for actual businesses. Therefore,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examined the direction of effective policies and cultural topography for businesses with experience in carrying out projects.

한국어

이 논문은 국제문화교류 사업을 실제 수행한 사업체의 특성, 재원과 수행방식, 장애 요인들을 살펴보고, 정책지원과 제도 평가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사업 수행 주체별, 종사자 규모, 사업비, 업무 담당 부서 수, 전문 인력 수 등이 국제문화교류 정책 및 제도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본다. 2017년 국제문화교류 진흥법 시행 후, 처음 실시한 국제문화교류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사업체는 국제문화교류 사업이 부가적 사업으로 구조화되어 있고 업 무 담당 부서가 부재하며, 전문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국제문화교류 사업 수 행 시 장애 요인으로 필요 예산 부족이 가장 많았으며, 해외단체 및 예술가와 네트워크 부족, 전문 인력(기획자/예술가 등) 부족이 그 뒤를 이었다. 셋째, 정책지원 방식 및 제 도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기관 부재와 국제문화교류 영역 에 대한 인력 부족에 대한 지적이 많았다. 넷째, 현재 국제문화교류 정책과 제도 전반 에 대해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업체들은 상대적으로 부정 적 평가가 많았으며 전담 부서 수가 많을수록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특히 전담 업무 부서 수는 중장기적 사업구성, 권역별 문화전략, 전문 인력 채용 및 확보, 콘텐츠 다양 성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국제문화교류 진흥법 제정 이후, 국가에서 처음 실시한 국제문화교류 실 태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제 사업체들이 요구하는 실효성 있는 정책의 방향성을 분 석하는 측면에서 살펴봤다는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국제문화교류 분야의 사회적 요구 와 개별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다수 존재하지만, 전체 구조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사업체별, 정책 요소별 파악한 것은 드물었다. 또한, 실제 국제문화교류 사업을 수행한 사업체만 연구 대상으로 한정하여 실증적 의미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이론적 배경
1. 국제문화교류의 개념과 배경
2. 국제문화교류의 전개
3. 국내·외 국제문화교류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1. 국제문화교류 사업 운영 사업체의 특성
2. 국제문화교류 사업 수행 시 장애 요소
3. 국제문화교류 정책지원 방식 및 제도 평가
4. 국제문화교류 정책지원 방식 및 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보배 Kim, Bobae.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박사과정
  • 이윤석 Lee, Yun-Suk.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