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사회성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원문정보

A Case Study of Art Therapy on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an Adolesc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하주희, 임지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ingle case study to find out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adolesc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15-year-old male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level 2. Changes in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session and step-by-step observations, self-expression test and K-HTP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o find out changes in self-expression in an adolesc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ocial skills rating system and KSD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in social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verbal and non-verbal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were improved in session and step-by-step observation. In addition, the score of self-expression increased slightly in the post-test, and in the post-K-HTP, it showed expanded self-expression than the pre-test. In addition,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core increased slightly in the post-test, and the perception of school, oneself, and teacher in the post-KSD showed a clearer expression than the pre-KSD. As a result of the above,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had a slightly positive effect on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an adolesc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n art therapy research case that positively affected the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an adolesc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한국어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일사례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자폐스펙트럼장애 2급의 만 15세 남 학생이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회기 및 단 계별 관찰을 통해 자기표현과 사회성의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고, 자기표현력 검사와 K-HTP를 사전, 사후로 수행하였으며, 사회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성 기술 평정 척도 검사와 KSD를 사전, 사후로 수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회기 및 단계별 관 찰에서 언어적, 비언어적 자기표현과 사회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표현력 점수가 사후에 소폭 증가하였고, 사후 K-HTP에서 사전 검사보다 확장된 자기표현을 나 타냈다. 더불어, 사회성 기술 평정 척도 점수가 사후에 소폭 증가하였고, 사후 KSD에서 학교, 자신, 교사에 대한 인식이 사전 검사보다 좀 더 명확해진 표현을 보여주었다. 이상 의 결과로 미술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사회성에 소폭이지만 조금 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자기표 현과 사회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미술치료 연구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 도구
4. 프로그램
5. 자료 처리 및 분석
Ⅲ. 연구 결과
1. 자기표현 및 사회성의 회기별 변화
2. 척도 및 그림 검사에 의한 자기표현의 변화
3. 척도 및 그림 검사에 의한 사회성의 변화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주희 Ha, Ju-Hee. 도담언어심리발달센터 미술심리상담사
  • 임지향 Im, Ji-Hyang. 대구사이버대학교 미술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