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아시아 문명의 전환과 經學의 변형 — 이익의 『논어질서』 「팔일」 22장 삼귀(三歸)해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On the Transition of East Asian Civilization and the Reform of Confucian Classics — Focusing on Yi Ik's Interpretation of the “Three Returns(三歸)” in Analects 3:22 —

박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ticulate Yi Ik's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Three Returns" in the context of Confucian history. The Three Returns relates to the deeds of Guan Zhong. However, its meaning was not clear, leading to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by interpreters throughout history. Three Returns also appears in historical texts and the book of Hundred Schools, but with a different context and meaning. Confucian scholars in the Han Dynasty interpreted this as a matter of ritual. The Han dynasty Confucian scholar's interpretation was rejected by Zhu Xi. In his Commentary on the Analects, Zhu Xi interpreted Three Returns as a tower. The Qing dynasty scholars criticized the tower interpretation as an error and tended to revert to Han dynasty commentaries. The Three Returns has been interpreted throughout history to reflect the circumstances of their own time, and Yi Ik also interpreted it according to the needs of his own time. Yi Ik accepts Zhu Xi's interpretation. However, he abandons the context of The Analects and offers an original interpretation. He deconstructed the contents of the Shuoyuan, where the tower theory was raised, and gave it a new meaning according to his political ideal of 'A Universal Worldview.' The idea is to implement a politics of virtue that can win the support of the world's people so that everyone in the world can enjoy peace and benefits. This will allow me to reinterpret his perception of the practical value of the ‘Way of Hegemony’.

한국어

이 글은 『논어』의 ‘삼귀(三歸)’에 대한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해석을 경학 사의 맥락에서 검토한 것이다. 삼귀는 관중의 행적과 관련된 것이지만, 그 의 미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역대 주석가들의 다양한 해석이 제기되었다. 역사 서나 제자서에도 삼귀가 언급되는데, 그 배경과 의미가 서로 다르다. 한당 주 석가들은 삼귀를 예의 문제로 귀결시키는 취삼성녀로 해석하였다. 취삼성녀설 은 주희의 『논어집주』에서 삼귀대설로 변형되었다. 청대 고증학자들은 삼귀대 설의 오류를 지적하고, 고주의 취삼성녀설로 돌아가는 경향을 보인다. 삼귀의 해석은 역사적으로 각기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였으며, 성호 역시 자신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해석하였다. 성호는 『논어집주』의 삼귀대설을 수용하지만, 『논어』의 본래 문맥을 벗어나 독창적인 해석을 제시하였다. 성 호의 해석은 삼귀대설을 제기한 『설원』의 내용을 해체시키고, 공천하(公天 下)를 지향하는 자신의 정치적 이상에 따라 새롭게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삼귀는 천하의 민심이 귀의[民歸]할 수 있는 인정[政歸]을 베푸는 성인의 박 시제중(博施濟衆)으로 귀결되는데, 이를 통해 성호가 패도의 현실적 가치를 인정하는 것도 재해석될 수 있다.

목차

【국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삼귀에 대한 제설(諸說)
Ⅲ. 『논어집주』의 삼귀대설(三歸臺說)
Ⅳ. 청대 삼귀대설의 부정과 새로운 관점들
Ⅴ. 성호의 삼귀해석과 의의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박지현 Park Jihyu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객원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