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세기 몽유록의 형상화 양상과 특징 — <만하몽유록(晩河夢遊錄)>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Mongyurok in the 19th Century — With Manha-mongyurok at the center —

양혜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 which was creat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can be said to be a mongyurok in a monumental and bridging position that reveals the succession and variation of the creation customs of previous mongyuroks. This work is a work in which a desperate historical crisis, a plan to overcome, and a self-epic of pursuit of desire are embodied through a trip to a fantastic space in the dream world. By accepting various genres and recreating them, he completed the dream travelogue of intellectuals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of the 20th century who lived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19thcentury. is a novel with a large narrative scale. By extending the dream of traveling the world to the transcendental realm through excursions, various stories such as worries and criticism about the survival of the country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times, and discourse of enlightenment were unfolded. Through the dual structure of these various stories and discourses, the discussion of historical reality, excursions, and ties show a close relationship, and the writer's consideration and skill are revealed through the maximized narrative scale. In this way, showed the stylistic dynamism of Mongyurok by experimenting with new forms in the method of realizing the theme or narrative structure. If the urgency of historical reality was shown through the traditional values of confucianism and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it was embodied as a self-narrative through a writing method called ‘Hyeopseo(digression)’. As such, It can be said to be a valuable work that is embodied as a narrative maximized through negotiations and variations of various genres.

한국어

근대 전환기에 창작된 <만하몽유록(晩河夢遊錄)>은 전대 몽유록의 창 작 관습의 계승과 변주가 드러나는 기념비적이고 교량적인 위치에 있는 몽유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몽중 세계에서 환상적인 공간의 유 람을 통해 절박한 역사적 위기와 극복 방안, 욕망 추구의 자기서사가 형 상화된 작품이다. 다양한 장르를 수용하고 재창조를 통해 19세기의 자장 안에 살았던 20세기 근대전환기 지식인인 김광수(金光洙)는 몽유록을 완 성하였다. <만하몽유록>은 서사 규모의 편폭이 큰 소설이다. 유람을 통해 천하 주유 의 꿈을 초월계에까지 확장하여 근대전환기 국가의 존망에 대한 걱정과 비 판, 개화의 담론 등 다양한 이야기를 펼쳐 놓았다. 이런 다양한 이야기와 담 론을 초월계와 현실계라는 이중적 구조를 통해 역사적 현실에 대한 토론과 유람과 결연이 긴밀한 연관 관계를 보여 주며 작가의 배려와 솜씨가 극대화 된 서사 규모를 통해 드러난다. 이렇게 <만하몽유록>은 주제를 구현하는 방식이나 서술구조에 있어 새로 운 형태를 실험하여 몽유록의 양식적 역동을 보여 주었다. 역사적 현실의 절 박함을 유가의 전통적 가치관과 문명개화의 담론을 통해 보여 주었다면 협 서라는 글쓰기 방식을 통해 자기서사로 형상화한 것이다. 이처럼 <만하몽유 록>은 다양한 장르의 교섭과 변주를 통해 극대화된 서사로 형상화한 가치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현실계에서의 욕망 추구와 자기서사
Ⅲ. 형상화 양상과 특징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혜승 Yang Hyeseun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문사회교양학부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