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령자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헬스케어 컨시어지 서비스디자인

원문정보

Healthcare Concierge Service Design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for the Elderly

김다혜, 정정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ronic diseases can be prevented by improving lifestyle, but the incidence rate continues to increase.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are also conducting various health care programs, but it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for the elderly to manage their health through application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s service cases that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health care of the elderly. In addition, the health care service UX area and the health care quality of life area are divide d into the health care service UX area and the health car e quality area through current status analysis and desk research to derive the needs and implications of the elderly. Set up Persona and customer journey maps to present customized services for the elderly, such as improving ea ting habits, introducing customized diets, exercise methods, and easy-to-use methods for speech and voice. It also proposes an interface of a mobile app that can manage health by itsel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healthcare concierge service desig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be prevented and managed by pursuing continuous improvement, and it suggests the need to implement services through user-centered design and collaboration. This study proposes a healthcare concierge service design for effective and continuou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and expects useful and continuou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by users.

한국어

만성질환은 생활 습관의 개선으로 예방할 수 있지만, 발생 률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만성질환을 관리하기 위해 정 부와 기업들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지만, 고령자 들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건강관리 하는 것은 복잡하고 접 근성이 낮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령자 들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관리에 도움 되는 서비스 사례들을 조사한다. 또한, 현황 분석과 데스크 리서치를 통해 만성질환 이 있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헬스케어 서비스 UX 영역과 건 강관리 삶의 질 영역을 나누어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후, 심 층 인터뷰를 통해 고령자들의 요구사항 및 시사점을 도출한 다. 페르소나와 고객 여정 지도를 설정하여 식습관 개선, 맞 춤형 식단, 운동 방법 소개, 말과 음성으로 사용하기 쉬운 사 용 방법 등 고령자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시한다. 또한, 고령자의 특성을 반영해 혼자서도 건강관리가 가능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헬스케어 컨시어지 서비스디자인의 성공적 구현을 위해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하 여 만성질환을 예방 · 관리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과 협업을 통한 서비스 구현 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헬스 케어 컨시어지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사용자의 효용 성, 연계성, 지속성 있는 만성질환의 예방ㆍ관리를 기대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고찰
2.1. 만성질환의 이해
2.2. 헬스케어 컨시어지 서비스디자인
3. 헬스케어 컨시어지 서비스디자인 사례분석
4. 사용자 조사
4.1. 심층 인터뷰
4.2. 페르소나 및 고객 여정 지도
4.3 결과 분석 및 니즈 도출
5.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헬스케어 컨시어지서비스디자인 제안
5.1. 디자인 콘셉트
5.2. 디자인 전개
5.3. 디자인 제안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다혜 Kim Da Hye. 전남대학교, 아트&디자인테크놀로지협동과정
  • 정정호 Jung Jung Ho. 전남대학교, 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