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자인교육에서 ChatGPT와 Midjourney의 효과성 연구 - 스토리 일러스트레이션의 창작물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hat GPT and Midjourney in Design Education - Focus On The Creation Of Story Illustration -

민지영, 정병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evolves rapidly, the role of machines in replacing the human domain is accelerating. The role of AI tools that help humans' cognitive abilities is also becoming important in the process of desi gn ideas and identification. This study used a three-division method of rhetoric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sults of illustration classes conducted using Chatgptand Midjourney, which are generative AI tools, during the identification process. If a message is delivered through various rhetorical expressions in illustration, it can convey the meaning of the work abundantly and convey artistry and functionalit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questionnaire test through the most commonly applied rhetoric test to measure the learning ability of results produced by dividing them into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ative group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3, the group using generative AI tools had higher metaphor, change, and emphasis evaluation scores were also higher. Students contributed to further strengthening design and increasing participation in classes by effectively utilizing generative AI tools during the planning and identification stage.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various educational methods using generative AI tools should be mobilized to create abundant ideas.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a design education model to improve the students' design IDation capabilities.

한국어

AI기술의 발달이 빠르게 진화됨에 따라 기계가 인간의 영 역을 대신하는 역할이 가속화되고 있다. 디자인 발상 및 아이 데이션 과정에서도 인간의 인지 능력을 도와주는 AI도구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아이데이션 과정에서 생 성형 AI도구인 ChatGPT와 Midjourney를 사용하여 진행된 일러스트레이션 수업 결과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사학의 삼분법을 이용하였다.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다양한 수사적 표현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면, 작품의 의미를 풍성 하게 전달하며, 예술성과 기능성을 전달할 수 있다. 2023학년 도 1학기에 일러스트레이션 수업에 참여한 수강자들을 대상 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제작된 결과물의 학습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수사학의 삼분법(비유법, 변화법, 강조법)을 통하여 설문지 검사를 검 증하였다.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증 으로 분석한 결과, 생성형 AI도구를 활용한 집단이 그렇지 않 은 집단에 비해 비유법, 변화법, 강조법 평가 점수가 높았으 며 흥미도 또한 더 높아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수강자들은 기획 및 아이데이션 단계에서 생성형 AI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디자인을 더욱 강화하고 수업의 참여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장된 아이데이션을 위해서는 생성형 AI도구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 방식들이 동원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수강자의 디자인 아이데이 션 역량 향상을 위한 디자인 교육 모델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1.3. 선행연구 고찰
2. 이론적 배경
2.1. 생성형 AI 도구의 종류
2.2. Midjourney 프롬프트의 이해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과 연구가설
3.2. 수업모형설계
3.3. 설문지 평가항목 구성
4. 연구결과
4.1. 전문가 평가집단 구성
4.2. 작품 결과물
4.3. 실험분석 및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민지영 Min Ji Young. 건국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학과
  • 정병국 Jeong Byoung Guk. 남서울대학교, 시각미디어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