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기업가 정신의 고용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국가 단위의 실증분석 -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mployment Effect of Digital Entrepreneurship - Evidence from National Level Analysis -

봉강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igital transformation causes environmental changes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such as expand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due to the destruction of entry barriers to existing industries and reducing early-stage start-up costs due to digitalization of assets. In this light, the concept and related research field of 'digital entrepreneurship' have recently emerged as a new theoretical framework for looking at entrepreneurship in the digital economy. However, there are few that examine the outcome aspects created by digital entrepreneurship in the field of digital entrepreneurship research.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mployment effect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at the national level. To this end, it conducts a generalized linear model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an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related survey. In this study, the willingness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willingness to hire new employe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motion of digital entrepreneurship has the effect of inducing employment at the national level.

한국어

디지털 전환은 기존 산업의 진입장벽 파괴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확대, 자산의 디지털화에 따른 초기 창업비용의 축소 등 창업 및 기업가적 활동 측면에서 중대한 환경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기존의 기업가정신 이론으로 기업가들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인식하고, 기업가적 가치를 추구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해하기에는 충분치 않으며, 기업가정신의 특성 및 효과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최근 디지털 경제 환경에서의 기업가정신을 조망하는 새로운 이론적 틀로서 ‘디지털 기업가정신’이라는 개념 및 관련 연구분야가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기업가정신 연구 분야에서 디지털 기업가정신에 의해 창출되는 성과 측면을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 기업가정신 관련 조사인 「글로벌 기업가정신 모니터 (GEM)」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가 단위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 의지와 신규 인력의 고용의지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기업가정신 의 고용효과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기업가적 활동에 있어서의 디지털 기술 활용 의지는 고용의지와 긍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촉진이 국가적 차원에서 고용을 유발하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 고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2.1 기업가정신 및 디지털 기업가정신
2.2 연구가설 설정
Ⅲ. 연구자료 및 방법
3.1 연구자료
3.2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 초록

저자정보

  • 봉강호 Bong, Kang Ho.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AI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