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개별논문

밀양검무의 복원 전승과 문화유산적 가치

원문정보

Restoration and Succession of Milyang Sword Dance, and Its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성기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looks into the restoration and succession of Milyang Sword Dance and its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While focusing on Milyang Sword Dance’s own local features and artistic uniqueness, this study states the restoration and succession of Milyang Sword Dance and its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from the contemporary view here in this article. Remaining are a variety of records about Milyang Sword Dance late in the Joseon Dynasty, most of which are about the Gisaeng (Korean traditional female entertainer) Woon-shim (雲心) from Milyang region. The records about her are shown on many books including the section 2 EungCheonGyoBangJukJiSa (凝川敎坊竹枝詞) of TaeEulAmMunJip (太 乙菴文集) written by Shin Kook-been (申國貧, 1704~1799), CheongSeongJapGi (靑城雜記) by Sung Dae-joong (成大中, 1732~1809), CheongJangGwanJeonSeo (靑莊館全書) by Lee Deok-moo (李德懋, 1741~1793), GamEunPyeon (感恩 篇) by Lee Myeon-seung (李勉昇, 1766~1835) and etc. Especially, Park Je-ga, a Confucian of Shilhak School late in the Joseon Dynasty, wrote a collection of essays named MyoHyangSanSoGi (妙香山小記) after travelling around the mountain Myo-hyang, which later was included in JeongYooMunJip, a collection of Jeong-yoo’s literatures. In the modern period, Woon-shim from Milyang region was famous of Sword Dance. That period, most of dancers of Sword Dance were Woon-shim’s students, which indicates that Woon-shim was a master of Sword Dance and the top dancing star in that period. The succession of Woon-shim’s Sword Dance had been interrupted since Japanese Invasion. Late in 1980s, however, it was restored by Kim Eun-hee, a traditional dancer from Milyang region and has been lasting to this day. The restoration of Milyang Sword Dance had been carried out two times. The first restoration work began in 1987 and its results were performed on a show of National Gukak Center in Seoul. This restoration work is, for convenience sake, called ‘the Restoration of Under-Japanese-Rule Milyang Gisaengs’ Association Version of Sword Dance’, which is the Sword Dance transmitted through Gisaengs’ associations controlle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is is the duet Sword Dance style restored in the way of so-called GuJeonSimSu (口傳心授: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not written words but spoken words and minds). The second restoration work was implemented after 2004. This work was for ‘the Restoration of Milyang Gisaeng School Version of Sword Dance Late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focusing on the Sword Dance of Woon-shim, a master of Milyang Sword Dance late in the Joseon Dynasty and based on three types of record: Woon-shim’s Milyang Duet Sword Dance shown on literatures, Shin Yoon-bok’s folklore painting piece SsangGeomDaeMoo and a martial art textbook MuYeDoBoTongJee. The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implied in the restoration and succession of Milyang Sword Dance is summarized into such characters as first, its historical value, second, its own unique local features, third, its artistic completion and uniqueness, fourth, its duet style form as a sign of a period, and fifth, its precise restoration.

한국어

본 논문은 밀양검무(密陽劍舞)의 복원 전승과 문화유산적 가치를 조 망한 것이다. 밀양검무 고유의 향토성과 예술적 독창성에 주목하되, 현 재적 관점에서 밀양검무의 복원 전승과 문화유산적 가치를 서술하였다. 조선후기 밀양검무와 관련한 다양한 기록을 남아있는데, 대부분 밀양 출신의 기녀 운심(雲心)에 관한 내용이다. 신국빈(申國貧, 1704~1799) 의 『태을암문집(太乙菴文集)』 권2 「응천교방죽지사(凝川敎坊竹枝詞)」, 성대중(成大中, 1732~1809)의 『청성잡기(靑城雜記)』 , 이덕무(李德懋, 1741~1793)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 이면승(李勉昇, 1766~1835)의 『감은편(感恩篇)』 등에 밀양검무의 명인 운심에 관한 기록이 전한다. 특히 조선후기 실학자 박제가(朴齊家)는 묘향산을 유람하고 「묘향산소기(妙香山小記)」라는 수필을 남겼는데, 이는 후에 『정유문집에 「검 무기」라는 제목으로 재수록되었다. 근세의 검무는 밀양의 운심이 유명 하며, 당시 이 춤을 추는 사람은 대개 운심의 제자라는 사실에서 운심 이 검무의 명인이었으며, 당대 최고의 무용스타였음을 알 수 있다. 운심 의 밀양검무는 일제강점기 이후 전승이 단절되었다가 1980년대 후반 밀양 출신 전통무용가 김은희에 의해 복원되어 현재로 이어지고 있다. 밀양검무는 두 차례에 걸쳐 복원과정이 추진되었다. 제1차 복원은 1987년 시작되어 1992년 서울 국립국악원 무대를 통해 선보였는데, 이는 편의상 ‘일제강점기 밀양권번본 검무복원’이라 이른다. 일제강점기 권 번을 매개로 전승된 밀양검무로서, 이른바 구전심수(口傳心授) 방식으 로 이검무 형식의 검무를 복원한 것이다. 제2차 복원은 2004년 이후 시도되었는데, 이는 ‘조선후기 밀양교방본 검무 복원’이라 하겠다. 조선후기 밀양검무의 명인 운심을 매개로 한 밀양교방본 검무복원 작업은 문헌기록에 나타난 운심의 밀양 이검무, 신윤복의 풍속화 「쌍검대무」, 「무예도보통지」 등 세 가지 전거(典據)를 바탕으로 복원되었다. 밀양검무의 복원 전승에 함축된 문화유산적 가치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전거에 내재된 역사성, 둘째, 지역 고유의 향토성, 셋째, 예술적 완결성·독창성, 넷째, 시대의 징표로서의 이검무 형식, 다섯째, 고증을 통한 복원의 엄밀성 등이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문헌기록에 나타난 밀양검무
3. 밀양검무 복원 전승의 전거
1) 운심의 밀양 이검무
2) 신윤복의 풍속화 「쌍검대무」
3) 『무예도보통지』의 무술 도상
4. 밀양검무의 복원 전승과정
1) 1차 복원: 일제강점기 밀양권번본
2) 2차 복원: 조선후기 밀양교방본
5. 밀양검무의 문화유산적 가치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성기숙 Sung, Ki-sook.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