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개별논문

전통음악 복원과 재현, 그 궤적 및 의미

원문정보

The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of Traditional Music in Korea

이진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of traditional music in Korea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restoration of Old Music Score, the reproduction of Phonograph Records, and the discovery of traditional music arts. These three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can be seen to have different restoration points, and in the case of Old Music Score, it could be understood in the framework of “modern reproduction” due to the problem that perfection cannot be pursued in its decoding. In the case of Phonograph Record, the music contained in it can be used as the starting point for restoration, but even if it is restored,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possibility of reproduction in which the artistry and creativity of recorded music are exhibited. In the case of the discovery of traditional music and arts, it was highlighted that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original form for the events that had not been steadily passed down, and in the end, this could also be discussed in the framework of “modern reprodu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ny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should precede systematic research on the music genre, and if historical evidence is not prioritiz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lways a risk of modulation or fabrication. It was thought that the restoration and re-creation of the disappeared traditional music art should not be an objective in itself, and based on it, it should be established as a rich content in the traditional music world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진행되는 전통음악 분야에서의 복원과 재현 상황을 고악보 복원, 유성기음반 재현, 및 전통예술 발굴 사업 등 세 가 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세 가지 복원과 재현은 그 기준이 되는 복원점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는데, 고악보의 경우 그 해독에 있어 완벽함이 추구될 수 없다는 문제로 인해 ‘현대적 재현’의 틀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유성기음반 의 경우 그 안에 담긴 음악을 복원의 기점으로 삼을 수 있으나 복원이 된다고 하더라고, 녹음된 음악이 갖추고 있는 공력이나 창조성이 발휘되는 재현의 가능성까지 얻기에는 어려운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 예술 종목의 발굴의 경우에는 꾸준히 전승되지 않았던 종목들에 대해서 원형을 찾기 어려운 점이 부각되었으며, 결국 이 또한 ‘현대적 재현’의 틀에서 논의될 수 있었다. 또한 어떠한 복원과 재현이라도 그 종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 되어야 하며, 고증이 우선되지 않는다면 변조나 날조의 위험성도 항상 존재하는 것을 주목해야 함도 알 수 있었다. 사라진 전통예술의 복원과 재창조는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되며, 그를 토대로 향후 전통 음악계의 풍부한 컨텐츠로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라 생각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전통음악 복원과 재현의 궤적
3. 전통음악 존재 양상에 따른 복원과 재현의 의미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1> 한국민속예술경연대회 및 축제 출품 농악 종목
<부록 2> 한국민속예술경연대회 및 축제 출품 민요 종목

저자정보

  • 이진원 Lee, Jin-weon.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