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ocial aspect and perception of reality of Cheondoism students in Jap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eondoism students) in Korean socie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1920s and 30s, and to reveal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movement they were pursuing. In this study, it was noted that the thoughts and knowledge of Cheondoism students were reflected in the operation of the Cheondoism youth organization, which served as a steppingstone to lead the direction of the Cheondoism national movement. Therefore, the perception of reality, which is the basis of their actions and practices, was divided into education, rural areas, farmers, and society, and confirmed and reviewed. For the study, a magazine containing the religious perception of Cheondoism students, the social problems faced by colonial Korean society, and the sense of criticism of the colonial authorities was used. This study deals with the perception of reality of Cheondoism students in the three fields of education, rural areas and farmers, and society in colonial Korean society in the 1920s and 30s. First, it reviewed what Cheondoism students thought of education at the time and what measures they were proposing to revitalize educ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how Cheondoism students perceived the economic situation of rural and farmers at the time, and what they sought to improve farmers’ lives and revitalize the rural economy in the situation of Japanese colonial period. Third, through the influx of socialism and changes such as the World Economic Depression, it was analyzed how Cheondoism students viewed Korean society under Japanese colonial era at the time and what they wanted to do to overcome the reality of coloniz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ducation was considered the most basic and basic requireme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lonial Korean national movement for Cheondoism students in the 1920s and 30s. They recognized that recognizing and awakening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through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moving society. Next, it can be seen that Cheondoism students place as much importance on issues related to farmers and rural areas as education. At that time, the majority of the Korean people were engaged in agriculture, and moreover, most of the church members were farmers, so Cheondoism students also dealt with this issue seriously. In particular, as the rural economy became more difficult after the Great Depression, they valued agriculture as a key industry for all industries and suggested various solutions to revitalize the rural economy. Finally, the social perception of Cheondoism students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nd criticism of colonial Korean society. However, these two perceptions led to one argument that individuals should fulfill their social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in the reality of colonial Korean socie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y recognized that they were Cheondoist and tried to induce social participation of individual Korean people by carrying out various national movements based on Cheondoism doctrin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1920~30년대 일제하 식민지 조선사회에서, 천도교 도일 유학생(이하, 천도교 유학생)이 바라보는 사회상과 현실인식을 파악하고, 그들이 추구하는 민족운동의 지향점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천도교 유학생들의 사상과 지식이 천도교 청년조직의 운영에 반영되었고, 그것이 천도교 민족운동을 이끌어간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때문에 그들의 행동과 실천의 기반이 되는 현실인식을 교육과 농촌농민, 사회로 나누어 확인하고 검토하였다. 검토에는, 천도교 유학생의 종교적 인식은 물론 식민지 지배하 조선사회가 직면한 사회 문제와 식민지 당국에 대한 비판의식 등이 담긴 잡지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사회의 교육과 농촌농민, 사회 세 분야에 대한 천도교 유학생의 현실인식을 다루고 있다. 첫째, 천도교 유학생이 당시에 교육을 어떤 존재라고 생각하고 있었는지, 또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어떤 방안을 제안하고 있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둘째, 천도교 유학생이 당시 농촌과 농민의 경제 상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고, 일제강점기라는 상황 속에서 농민의 생활을 향상시키고 농촌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무엇을 강구하였는지를 확인하였다. 셋째, 사회주의 사상이 유입되고 세계경제대공황 등의 변화를 겪으며 천도교 유학생이 당시 식민지 조선사회를 어떻게 바라보았고, 또 피식민지라는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무엇을 하고자 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20~30년대 천도교 유학생에게 있어 교육은 식민지조선의 민족운동을 전개하는 데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필요조건이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들은 교육을 통해 식민지 조선사회의 현실을 인식하고 각성하는 것이, 사회를 움직이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천도교 유학생은 교육만큼 농민과 농촌에 관한 문제를 중시하고 있었다. 당시 조선 민중의 대다수는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고 더욱이 교인의 대부분이 농민이었기 때문에 천도교 유학생들 또한 이 문제를 중대하게 다루었다. 특히 경제대공황 이후 농촌 경제가 더욱 어려워지자, 그들은 농업을 모든 산업의 기간 산업으로써 중요시하는 동시에 농촌 경제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천도교 유학생의 사회 인식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성과 식민지 조선사회에 대한 비판,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다. 다만 이 두 가지 인식은, 식민지 지배하의 조선사회라는 현실 속에서 개인이 사회적 의무와 책임을 다 해야 한다는 하나의 주장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그들이 천도교인이라는 자각과 교리를 바탕으로 다양한 민족운동을 전개함으로써 조선 민중 개개인의 사회적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1. 머리말
2. 천도교 유학생의 교육 인식
3. 천도교 유학생의 농민 및 농촌 인식
4. 천도교 유학생의 사회 인식
5. 맺음말
<별표 1> 투고자 유학생에 관한 정보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