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천 섬 관광 체험에 관한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Study of Tourism Experience on Incheon Island : A Focus Group Interview(FGI)

손해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uthenticity experience of tourists to Incheon Island. A Focus Group Interview(FGI) method was mainly adopted in this study as a research method. As a result, first, the authenticity experience was confirmed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for increasing tourists’ satisfaction on tour. They acquired the authenticity from interactions with local residents on the Island and also were influenced by the existential authenticity experience when communicating with other tourists on the Island. Second, regardless of whether the hospitality and warm farewell shown by residents was truly sincere or customized, it facilitated the tourists to develop a good rapport with them. Even if the authenticity experience was a staged authenticity, it became a significant social place that motivated tourists to have positive awareness on tour and was served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to strengthen their desire to stay more on the Island. Third, the psychological risks of tourism experience that are inconsistent with the tourists’ self-image in mutual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eventually caused the tourists to leave. However, it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such as an attachment to the place. Finally, it was found that a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ourists and residents increased the satisfaction on tourism by forming an empathetic understanding and emotional intimacy. Thus, this study indicat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한국어

이 연구는 인천 섬 관광자를 대상으로 하여 관광자의 진정성 체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다. 연구방법으로는 FGI를 중심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관광체험 진정성 경험은 만족을 얻는 심리적 기제로 확인되었다. 또한 관광자는 섬 지역민을 통하여 진정성을 체험하였고, 나아가 섬에서 만난 다른 관광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전면부의 공동체감 즉, 실존적 진정성 체험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섬 지역민들에게 받은 환대 및 환송 행동이 진심이든 가공된 진심 즉, 맞춤형 진정성(customized authenticity)이든 관계없 이, 섬 주민들의 외적으로 보여 지는 환대표현은 관광자의 만족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관광체험 진정성은 보여 지고 체험하는 공간이 무대화된 고유성(staged authenticity) 경험일지라도 긍 정적인 관광인식과 머물기를 강화하는 의미 있는 사회적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지역민과의 상호소통 에서 관광자의 자아상과 일치되지 않는 관광체험의 심리학적 위험은 결국 떠나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장소 애착 등 관광자 개인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광자와 지역민 간 긍정적 상호소통은 공감적 이해 및 정서적 친밀감을 형성하여 관광체험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1. 관광체험_ 제3의 공간에서 체험하는 진정성
2. 사회적 상호작용
3. 섬 관광, 인천 섬 관광
III. 연구방법
1. 연구방법
2. 연구 참가자·자료수집
3. 연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IV. 실증분석
1. 관광 체험의 진정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2. 지역주민, 사람_ 관광체험 후 머물기를 결정하는 강력한 동기
3. 떠남과 기다림_그럼에도 불구하고…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손해경 Sohn, Hae-Kyung. 인천재능대학교 호텔관광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