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태공원 방문 관광객의 회복환경지각이 여가정책지지에 미치는 영향 :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검증

원문정보

The Effect of Visiting Ecological Park Tourists’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on Support for Leisure Policy : the Moderating Effect of Income Level

윤지인, 박수정, 김민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PRE) on the intention to support leisure policy among tourists visiting Jeju Gotjawal Provincial Park. We hypothesized that tourists with a higher PRE would have a higher intention to support leisure policies. We additionally hypothesized that the income level of the tourists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 and intention to support leisure policy.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e collected 270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 P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support leisure policy and 2) the income level of the tourists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on the PRE—intention to support leisure policy. Leisur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should consider that tourists who enjoy outdoor recreation in a nature-based setting can increase their interest in leisure policy. At the same time, they experience a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곶자왈도립공원에 방문하여 야외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관광객의 회복환경지각 이 여가정책지지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또한, 이러한 회복환경지각과 여가정 책지지의도의 관계가 소득수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주곶자왈도립공원을 방문해서 야외 여가활동을 마치고 내려오는 관광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70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및 경로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 제주곶자왈도립공원에 방문하여 야외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관광 객의 회복환경지각이 여가정책지지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주곶자왈도립 공원에 방문하여 야외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관광객의 회복환경지각과 여가정책지지의도의 관계에 소득 수준이 조절효과를 가져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수준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두 변인의 관계가 달라지지 않고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를 방문하여 야외 여가활동을 즐기기 위해 곶자왈 숲을 방문하고 있는 관광객의 회복환경지각이 국내의 여가관련 정책을 지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 음을 밝혔다는 데에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환경적으로 민감할 수 있는 도립공원과 같은 곳의 정책과 규 제를 결정할 때도 방문객의 회복환경지각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 는 관광객들의 자연관련 여가활동 참여에서 비롯될 수 있는 긍정적인 사회심리 요인들에 대한 탐색이 필요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1. 회복환경지각
2. 여가정책 지지의도
3. 소득수준과 회복환경지각 및 정책지지의도
III. 연구방법
1. 자료의 수집과 분석
2.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IV. 실증분석
1.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
2. 상관관계 분석
3.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4. 연구가설 검정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윤지인 Yoon, Jee In. 경희대학교 스포츠지도학과 교수
  • 박수정 Park, Soo Jung.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과 교수
  • 김민규 Kim, Min Kyu.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