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소셜미디어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거짓정보의 확산억제에 대한 연구 : 위험인식,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두려움, 그리고 조직에 대한 신뢰를 통한 두 가지 유형의 잘못된 정보 공유행동 예측하기
초록
영어
Objectives The intertwining of the coronavirus spread with misinformation creates confusion among people, significantly affecting their decision-making processes concerning vaccines and treatments. Given the ease with which individuals encounter COVID-19-related misinformation on social media platforms, it becomes imperative to anticipate and understand the behaviors of social media users when it comes to sharing mis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validate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seeks to predict two distinct types of misinformation-sharing behaviors: those who engage in fact-checking and those who do not. The study achieves this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participants' perceptions of COVID-19 risk, their level of social media literacy, fear levels, and their trust in both the media and government on their fact-checking behaviors. Methods Using 500 participants from South Korea,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predict two distinct types of misinformation-sharing behaviors: those who engage in fact-checking and those who do no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fake news exposure and fear of COVID-19 were significant factors in predicting the two types of misinformation-sharing behaviors. By accounting for demographic information, exposure to fake news, and fear of COVID-19,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rust in the media predicted individuals' misinformation-sharing behaviors without fact checks whereas social media literacy and trust in government led to fact-checking behavior before sharing misinformation related to COVID-19. Conclusions Infectious diseases like the COVID-19 pandemic are likely to recur in the future. Consequen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rry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within the realms of crisis and public communication. Specifically, the framework for predicting two distinct forms of misinformation-sharing behavior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heory. Furthermore,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offer valuable insights to communication professionals working in government positions.
한국어
연구목적 코로나 펜데믹 상황을 돌이켜보면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과 더불어 잘못된 정보역시 확산되는 현상이 있었다. 이렇게 가짜뉴스를 포함한 잘못된 정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혼란을 일으키게 할 뿐 만만 아니라 백신 및 치료에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끼쳤다. 특히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사람들은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된 잘못된 정보에 쉽게 노출되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에서 접한 정보공유 행위를 팩트체크 유무로 나누어서 예측하려고 한다. 이론적인 예측모델을 만들기 위해 참여자들의 코로나바이러스 위험인식, 소셜미디어 리터리시 정도,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두려움의 수준, 그리고 미디어와 정부에 대한 신뢰정도를 독립변인으로 제시하여 앞서 언급한 팩트체크 유무에 따른 두 가지 종류의 정보공유 행동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 온라인 패널회사를 통해 500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방법론으로 위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하여 소셜미디어상에서 사람들의 팩트체크 유무에 따른 두 가지 정보공유행동을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에 따르면 코로나바이러스 에 대한 뉴스출과 두려움이 큰 사람일수록 팩트체크유무와 관계없이 정보공 유행동이 높았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가짜뉴스에 대한 노출 그리고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두려움을 통제했을 때, 미디어에 대한 신뢰는 사람들로하여금 팩트체크없이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유의미가 변수로 발견되었다. 그리고 소셜미디어 리터러시와 정부신뢰는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된 잘못된 정보를 공유하기전에 팩트체크를 하도록 하는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결론 및 함의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이 공공의 건강을 위협하는 유사한 위기는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연구는 온라인 상에서 잘못된 정보를 공유및 전파하는 행동을 이론적은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여 예측하였기에 공공 위기커뮤니 케이션의 이론적 발전과 정부 위기관리의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목차
서론
Literature Review
Misinformation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wo Types of Misinformation-sharing Behaviors
Misinformation Exposure of Individuals in Social Media
Fear of COVID-19
Social Media Literacy
Media Trust
Trust in Government
Methodology
Participants and Survey Procedure
Measurement
Results
Discussion
Theoretical Implications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References
Appendix.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