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울시 지역별 고령 인구 데이터 분석을 통한 평생교육 수요 지역 예측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Predicting Regions of Lifelong Education Demand Through the Analysis of Elderly Population Data by District in Seoul

왕경은, 이영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lderly population is defined as individuals aged 65 and above, and due to declining birth rates and increasing life expectancy, South Korea is rapidly transitioning into an ultra-aged society. This demographic shift has brought forth the need for reintegration of the elderly into productive activities and self-development,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and retraining programs. In this paper, we utilized population data at the regional level in Seoul to predict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in each region ten years into the future. Based on these predictions, we identified regions expected to have high demand for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To achieve this, we employed a linear regression model in Python to forecast the expected life expectancy ten years from now, using historical life expectancy data. Additionally, we utilized population statistics data from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to visualize the comparison between the elderly population in 2022 and projected elderly population in 2032 through graphs, providing a clear representation of the magnitude of increase. By applying the projected life expectancy, we predicted the number of elderly individuals in each district of Seoul in 2032, revealing that Gangseo-gu and Songpa-gu are expected to have a higher elderly population.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expanding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and retraining programs would be necessary in these area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aging population and lifelong education, serving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policy-making and social adaptation.

한국어

고령 인구는 65세 이상의 인구로 정의되며, 출산율의 저하와 기대수명의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는 초고령 사회로 급속히 진입하고 있 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고령 인구의 생산활동 재진입과 자기계발을 위한 평생교육 시설 및 재교육 시설의 필요성이 대두되 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지역별 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10년 후 각 지역의 노령 인구수를 예측하고, 이를 통해 평생교육 시설의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기대수명 데이터를 파이썬의 선형회귀모델로 10년 후의 기대수명 을 예측하였으며, 행정안전부의 서울 지역별 인구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2022년의 노인 인구수와 2032년의 노인 인구수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증가 정도를 명시적으로 표현하였다. 기대여명을 적용하여 10년 후인 2032년 서울시 구별 노인 인구수를 예측한 결과, 송 파구와 강서구에서 높은 노인 인구수가 예상되었고, 송파구와 강서구는 평생교육 시설 및 재교육 시설의 확충이 필요한 지역으로 판단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령 인구와 평생교육에 대한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정책 수립 및 사회적 대응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고령 인구 데이터 분석을 통한 평생교육수요 예측
1. 연구 수행 과제 및 데이터 자료
2.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저자정보

  • 왕경은 Kyungeun Wang.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인공지능교육전공 석사과정
  • 이영석 Youngseok Lee. 서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