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九義士傳>에 나타난 인물 형상화 방법과 그 의미

원문정보

Characterization Method and its Meaning in Guuisajeon (九義士傳)

<구의사전>에 나타난 인물 형상화 방법과 그 의미

유요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divides the records of Guui-sa, a refugee from M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to three groups and explores their orientation consciousness. So far, studies on Guuisa have been considered to be in contact with ideologies such as the principle of great honor, the theory of existence, and the history of Wijeongcheoksa, but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purely looked at the ideology in wri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other side of ideology, that is, in the political and collective context. On the other hand,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story about Guui-sa from the level of narrative technique. As a result, the records of Lee Deok-Mu and Seong Hae-Eung used an objective description technique, which did not treat the Qing as a hostile relationship, but spread the idea of neutralization that the center of China was Joseon. In the records of Ming refugees, they secured the uniqueness and differentiated part of their identity by emphasizing seclusion without holding a government post, but this uncompromising idea rather had a part in contact with Wijeongchuksa. Lastly, in the records of the Hwaseo School, Kim Pyeong-muk intentionally contrasted Song Si-yeol with Namin, so that the political purpose of defeating the Hong Jik-pil-centered Maesan School and securing conduction was in place.

한국어

이 글은 조선후기 김평묵의 <구의사전>을 통해 당시 명 유민을 그려내는 방식과 그 효과 및 의도가 무엇이었는지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의사는 효종이 봉림대군 시절 청나라에 인질로 잡혀 있을 때 함께 조선으로 내려온 9명의 명 유민을 일컫는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구의사전>을 화이론에 입각한 위정척사론의 전개에 의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필자는 그간의 연구가 화서학파의 표피적 이미지만을 가져와 해석한 결과물이라 판단했다. 따라서 이 글은 <구의사전>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김평묵과 당시 화서학파 의 맥락과 아울러 ‘전(傳)’ 내부의 미시적인 서술기법을 파악해 보았다. 구의사에 대한 기록은 몹시 방대하지만, 성해응의 황명유민전에서는 존주론을 위 해, 왕덕구의 황조유민록에서는 일민 의식을 지향하는 면모가 강하게 드러나며, 특히 왕덕구는 주변 인물인 효종의 회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의사의 일민 의식을 강조 하는 전략을 취했다. 김평묵의 <구의사전>에는 이전 기록들과 다르게 북벌론을 주도하 는 효종의 모습이나 노론과 남인에 대한 서사가 개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양상을 띠게 된 까닭은 노론의 정통이 화서학파임을 알리는 동시에, 매산 학파의 이단 논쟁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내수외양을 선전하는 수단으로 효종과 척화신들을 활용함으로써 척사론의 담론을 주도하는 화서학파의 이미지를 구현한다. 다시 말해 <구의사전>은 김평묵이 살던 19세기 말 조선 사회를 환유한다는 점인데, 효종의 적극성은 당시 군주(고종)의 내수외양에 대한 강조를, 척화신의 영웅성은 화서학파 자신들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서술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은 당시 정 치적 생존 노선과 정치적 주도권을 획득하기 위한 김평묵의 의도가 내재해 있다. 결론적 으로 <구의사전>은 단순한 이념적 테스트가 아닌 정치적 텍스트로 읽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구의사를 형상화하는 방식의 차이
3. <구의사전>에 나타난 인물 형상화 양상
4. 정치적 글쓰기로 읽은 <구의사전>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요문 Yomoon, Yoo.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