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關雎」求賢詩說’에 대한 韓·中 詩經學 입론의 양상 — 근대 이전과 이후의 연구를 종합하는 차원에서 —

원문정보

The ‘recruiting sage’ hypotheses (求賢詩說) of Guān jū on Shijing studies in Korea and China : In a way that brings together research before and after modern times

‘「관저」구현시설’에 대한 한·중 시경학 입론의 양상 — 근대 이전과 이후의 연구를 종합하는 차원에서 —

홍유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the introduction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on “「關雎」求賢詩說” before and after modern times. Looking back on the theories of related scholars, it was confirmed that the scholars’ theories that claimed 「關雎」求賢詩說 had their own logic and grounds for viewing 「關雎」 as an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case of scholars who claimed 「關雎」求賢詩說 as a whole, there was no special influence relationship or private relationship. For this reason, the theories of scholars before and after modern times tend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Nevertheless, since each scholar established his own concerns and problem consciousness, there was also a part that revealed the uniqueness and originality of each theory. Through the organization of the 「關雎」求賢詩說 made this time,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issues and grounds of the scholars who argued for the theory. And what I think was most meaningful was that the blind spots of the existing 「關雎」 theory were resolved through a new perspective of 「關雎」求賢詩說, and rather recognized that the understanding of 「關雎」 was properly achieved. Accordingly, if you keep an eye on research conducted in the Korean-Chinese academia related to 「關雎」求賢詩說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you will reach a deeper understanding of 「國風」, including 「關雎」.

한국어

본고는 근대 이전과 이후에 있었던 ‘「關雎」求賢詩說’에 대한 韓·中 詩經學 입론의 양상 을 검토한 논문이다. 관련된 학자들의 설들을 돌아본바 ‘「관저」구현시설’을 제기한 학자들 의 설에서 이 시를 구현시로 보는 나름의 논리와 근거가 갖추어져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관저」구현시설’을 제기한 학자들의 경우 특별한 영향 관계나 사승 관계 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한 까닭에 근대 이전과 이후의 학자들의 이론이 서로 중복되는 경 향이 발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자들 개개인이 나름의 고민과 문제의식을 가지고 구현시설을 정립해 나갔기에, 각자가 가진 이론의 독자성 및 독창성이 드러난 부분도 있었 다. 이번에 이루어진 ‘「관저」구현시설’에 대한 정리를 통해, 해당 이론을 제기한 학자들의 논점과 근거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의미가 깊었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관 저」구현시설’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통해 기존의 「관저」설이 가진 맹점들이 해소되는 점을 확인했으며, 오히려 구현시설로 볼 때 「관저」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인식한 것이다. 이에 앞으로도 구현시설과 관련된 韓·中 시경학계에서 진행되는 연구를 주 시한다면, 「관저」를 포함한 「국풍」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기존의 「관저」설: 古注와 新注
3. 근대 이전의 ‘「관저」구현시설’
4. 근대 이후의 ‘「관저」구현시설’
5.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기존 설과의 해석 비교표
Abstract

저자정보

  • 홍유빈 Hong, you-bin.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