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양교육의 미래 영향 요인 분석 : A 대학 교양전담기관 교수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alyzing Critical Influencing Factors on the Future of General Education : Perspectives from Faculty Members in General Education Institution of a University

홍성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aculty in general education institutions play a crucial role in the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Faculty perceptions about the future of general education could affect the content and quality of such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faculty from the general education institution anticipate the changes in undergraduate general education ten years from now. The seven faculty members identified the critical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the future of general education, and 32 faculty memb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at analyzed the likelihood of these changes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the university. As a result, eight factors and 35 sub-factors were identified. Among these eight factors, ‘Changes in student characteristics’ was the only one on which faculty agreed, indicating both a high likelihood of change and a significant impact on universities. There was also a consensus among faculty on points such as the expansion of online education, changes in the needs of basic education, changes in the needs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expansion of quality management for general education, and changes in student demands for general education. Among the 35 sub-factors, there were 16 factors on which faculty agreed regarding the likelihood of change, with 14 predicted to be highly likely. Similarly, among the 24 factors on which faculty agreed regarding the likelihood of impact on the general education institution, 19 were predi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Changes in student characteristics, changes in the needs of basic education, and changes in the needs of liberal arts education were factors that require proactive responses, The expansion of quality management for general education was seen as requiring ongoing management. The expansion of online education, changes in faculty roles, flexible academic systems, and changes in student demands for general education were seen as factors requiring relatively passive responses.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eneral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dded to the conclusion.

한국어

교양교육 전담기관 교수들은 대학의 교양교육 변화와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이 교양교육의 미래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따라 교양교육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는 교양교육 전담기관 교수들이 10년 뒤 대학 기초 교양교육의 변화를 어떻게 예상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7명의 교양교육 전담기관 교수들이 기초교양교육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32명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대학에서 이러한 요인 이 나타날 가능성과 이것이 소속 대학에 미칠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전문가 내용타 당도를 통해 해당 요인이 적절한지 검토하고, 변화/발생 가능성과 대학에 미칠 영향력을 축으로 4사분면에 각 요인들을 배치하여 대응방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교육의 확대’, ‘학생 특성 변화’, ‘기초교육 필요성과 요구의 변화’, ‘교양교육 필요성과 요구의 변화’, ‘교수 역할 변화’, ‘학사제도 유연화’, ‘기초교양교육 질관리 확대’, ‘기초교양교육에 대한 학생 요구 변화’ 등 8개 요인과 35개 하위 요인 이 도출되었다. 이 중 변화/발생 가능성과 소속 대학에 미칠 영향력이 모두 클 것 이라고 인식된 요인 ‘학생 특성 변화’였다. ‘온라인 교육의 확대’, ‘기초교육 필요성 과 요구의 변화’, ‘교양교육 필요성과 요구의 변화’, ‘기초교양교육 질 관리 확대’, ‘기초교양교육에 대한 학생 요구 변화’는 소속 기관에 미치는 영향력이 클 것이라 인식되었다. 총 35개 하위 요인 중 변화/발생 가능성에 대해 교수들의 의견이 일 치된 요인은 16개였으며, 이 중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된 것은 14개였다. 교양교육 전담기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교수들의 의견이 일치된 요인은 24개였으며, 이 중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된 것은 19개였다. ‘학생 특성 변화’, ‘기초교육 필요성과 요구의 변화’, ‘교양교육 필요성과 요구의 변화’ 등은 적극적 대응이 필요한 요인으 로, ‘기초교양교육의 질 관리 확대’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요인으로, ‘온라인 교육의 확대’, ‘교수 역할 변화’, ‘학사제도 유연화’, ‘기초교양교육에 대한 학생 요구 변화’는 비교적 소극적 대응이 필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 를 기반으로 대학의 기초교양교육 발전을 위한 제언과 연구의 한계를 결론에 추가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성연 Hong, Seongyoun.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