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성 교육에 나타난 ‘비일상’ 체험과 주체성 ― 한일 여자교과서 『부녀감』과 『여자독본』 비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Non-daily life’ Experiences and Subjectivity in Women’s Education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extbooks of Korean-Japanese 『Hujyokagami』 and 『Reading Book for Women』 ─

박시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how female characters deal with “non-daily life” that appeared in Japanese and Korean biographical women’s textbooks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Hujyokagami(1887) and Reading Book for Women(1908). The figuration of “non-daily life” and their restoration to “Everydayness” were grasped from women’s perspectives, and the extraordinary nature imagined by each country and the ways in which the incidents were resolved were examined. This paper also traced the women’ schools that utilized each textbooks, and even examined the social advancement of representative women who were influenced by the texts. This serves as an answer to the assessment that women’s educational discourse, which increased in the modern era, influenced women’s active participation in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ir own independence.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Hujyokagami overcome crises by building community in solidarity with others in “non-daily life”. In other words, they transcend private communities and hierarchical structures to strengthen cohesion through trust. They also boldly cross geographical boundaries to solve crimes, and these adventure stories arouse learners’ curiosity about new worlds and encourage them to explore independent living. Then, the female characters in Reading Book for Women take the lead in overthrowing the ruling regime in order to regain their normal lives. They show aggressive actions, such as directly commanding the army to resist the regime, and look like dreamers of revolution. In addition, the representations of “non-daily life” in both textbooks match the actual situations in each country, reveal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ping styles of these figures and the social advancement of Japanese and Korean women. “Non-daily life” was a major theme in Japanese and Korean women’s education during a period of drastic change, and this overlapped with the social images of each country. Furthermore both textbooks commonly presented a brave and proactive image of women, and this system of representation influenced the actual formation of women’s thought.

한국어

본고는 근대전환기 일본과 한국의 열전형식 여자교과서, 『부녀감(婦女鑑)』(1887)과 『여자독본』(1908)에 나타난 ‘비일상 체험’에 대한 여성인물의 대처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비일상 체험’의 형상화와 ‘일상’으로의 회복을 여성의 입장에서 파악하고, 각국이 상상했던 비일상성과 사건 해결방식을 검토했다. 또한 각 교과서를 학습한 여학교를 추적하고, 해당 텍스트에 영향 받았을 대표적 여성의 사회진출까지 살폈다. 이것은 근대기에 들어서 증가한 여성교육담론이 여성들의 적극적인 사회참여와 주체성 확립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에 대한 대답으로 기능한다. 『부녀감』의 여성인물은 비일상적 상황에서 타자와 연대하며 공동체를 만들어 위기를 극복한다. 즉, 사적공동체와 위계구도를 넘어 신뢰관계를 통한 결속력을 강화시킨다. 이밖에 사건 해결을 위해 과감하게 지리적 경계를 넘나드는데, 이러한 모험담은 학습자로 하여금 새로운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주체적인 삶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한편, 『여자독본』의 여성인물은 일상으로의 회복을 위해 지배체제를 전복시키고자 한다. 직접 군사를 진두지휘하며 체제에 저항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데, 이들은 마치 혁명을 꿈꾸는 자들과 같다. 또한 두 교과서에 제시되는 비일상 표상은 각국의 실제 상황과 어울리며 등장인물의 대처양상은 한일 여성들의 사회진출과 연관성을 가진다. 이렇듯 격변기 한일 여성교육에서 비일상성은 주요 테마였고, 이는 각국의 사회상과 오버랩되는 것이었다. 공통적으로 두 교과서에는 용감하고 주체적인 여성상이 상당수 제시되는데, 이러한 표상체계는 실제 여성들의 사상계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일본어

本稿は、近代転換期の日本と韓国の列伝型式女子教科書、『婦女鑑』(1887)と『女子読本』(1908)に現れた「非日常体験」に対する女性人物の対処の様相を比較分析した。「非日常体験」の形象化と「日常」への回復を女性の立場から把握し、各国が想像した非日常性と事件の解決方法を検討した。 また、各教科書を活用した女子学校を追跡し、当該テキストに影響を受けたであろう代表的な女性の社会進出まで調べた。これは、近代に入って増加した女性教育言説が女性の積極的な社会参加と主体性の確立に影響を与えたという評価の答えとして機能する。 『婦女鑑』の女性人物は非日常的な状況で他者と連帯して共同体を作り、危機を克服する。つまり、私的共同体と階層構造を超えて信頼関係を通じた結束力を強化させる。また、事件解決のために果敢に地理的境界を越えるが、こうした冒険談は学習者に新しい世界への好奇心を呼び起こし、主体的な生活を模索させる。一方、『女子読本』の女性人物は、日常を取り戻すために支配体制を転覆させるために先頭に立つ。直接軍隊を指揮して体制に抵抗するなど積極的な行動を見せるが、彼らはまるで革命を夢見る者たちのようだ。 また、両教科書に提示された非日常の表象が各国の実際の状況と一致し、その人物の対処様式と日韓女性の社会進出との関連性を明らかにした。激変期の日韓女性教育において、非日常性は主要なテーマであり、これは各国の社会像と重なるものであった。また、両教科書には共通して勇敢で主体的な女性像が提示されており、このような表象体系は実際の女性たちの思想形成に影響を与えた。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부녀감』과 『여자독본』 속 ‘비일상’ 체험과 여성인물의 대처 양상
Ⅲ. 연대하는 여성들, 지리적 경계를 넘어서다
Ⅳ. 저항하는 여성들, 혁명을 꿈꾸다
Ⅴ. 『부녀감』과 『여자독본』의 영향력
Ⅵ.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박시언 Park, Si-eon.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동아시아학과 박사수료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