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아함에 대한 탐미 : 소비의 맥락에서 바라본 조선 후기의 문인화

원문정보

A Taste for Elegance : Literati Painting of the Late Joseon Period in the Context of Consumption

이연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ainting production, appreciation, and consumption culture expand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and the expansion of an enjoyment of ancient calligraphy. In addition, the enjoyment of literary culture and the demand for literarti paintings, which originally expressed the intention of literary artists, increased and were commissioned or used repeatedly to promote visual consumption. It is well known that the acceptance and use of literarti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largely influenced by Huang Gongwang and Ni Zan of the Yuan Dynasty, and Shen Zhou, the founder of the Ming Dynasty's Wu School. The specific paintings of these three artists in famous Chinese painting manuals were used not only as the basis for their training, but also for consumption. If you look at the Saui landscapes of orders, the proportion of Ni Zan is particularly high, which may be due to the quick and convenient response to demand as well as the self-sacrifice and unreasonable elegance of the unique style of Ni Zan. Along with the iconography of Chinese painting manuals with a certain stylistic framework, phrases and poems about specific literary styles also served as a medium of memory reminiscent of the image of literarti paintings and contributed to the consumption of them. The high-demand literary style was produced repeatedly and eventually led to reproduction. In this proces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work that could eventually be accepted as the category of literati paintings were fixed as images reminiscent of them, confirming the context of consumption.

한국어

조선 후기에는 사회경제의 발달과 고동서화 향유층의 확대에 따라 회화 제작과 감상, 소비문화가 확장되었다. 또한 문인 문화 향유 확대와 문인화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본래 문인들의 사의를 표현하던 문인화는 주문 제작되거나 혹은 일정한 양식이 반복해서 구사되며 시각적 소비를 도모하는 양상으로 변모해갔다. 조선 후기 문인화의 수용과 구사에서 원대의 황공망과 예찬, 명대 오파의 시조 심주의 영향이 컸음은 잘 알려져 있다. 중국의 유명 화보에 수록된 이 세 화가의 특정 한 도상들은 화가들의 수련 과정의 토대가 되었음은 물론 소비를 위한 측면에서도 반 복해서 활용되었다. 주문으로 제작된 사의산수화를 살펴보면 특히 예찬에 대한 비중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예찬 특유의 간일한 양식이 지닌 사의성과 속되지 않은 고아함, 수요 및 주문 대응의 신속성과 편이성이 작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일정한 양식적 틀을 지닌 화보의 도상과 더불어 특정한 문인화풍에 대한 문구나 시구 또한 문인화의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기억의 매개체로 작용하며 문인화의 소비에 기여하였다. 수요가 높은 문인화풍은 반복해서 제작되며 재생산으로 이어졌고 이러한 과정에서 결국 문인화의 범주로 수용될 수 있는 작품들이 지닌 양식적인 특징이 문인 화를 연상시키는 이미지로 고착되었는데, 이는 조선 후기 문인화에 내재한 소비의 맥 락을 확인시켜준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조선 후기 文人文化확대와 文人畵의 향유
Ⅲ. 寫意山水畵주문 제작에 나타난 문인화 수요와 성격
Ⅳ. 문인화의 다각적 소비와 문인화풍의 저 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연주 Lee, Yeonju. 충북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