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왕양명의 치양지(致良知)를 통한 산조(散調)의 창조정신 회복

원문정보

Restoration of Sanjo's creative spirit through Wang Yangming's Zhiliangzhi

김홍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ang Yangming(王陽明)'s theory of Zhiliangzhi(致良知) as a search for the restoration of the creative spirit of modern Sanjo(散調). In the early days, Sanjo had a free culture of the performer's personality and Takgok(度曲), while modern Sanjo lost most of its autonomy, improvisation, and liveliness in traditional Sanjo performance due to the authority and conservatism of Maj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ng Yangming saw that there was the pure principle of nature that was naturally given to humans, and this was called Liangzhi(良知), the main body of the mind. Liangzhi is easy to be covered by self-interest and human desire, so you must properly set up what your mind is aiming for and continue to be sincere to reach Zhiliangzhi. Zhiliangzhi is to reflect on and preserve Liangzhi in the relationship with objects, and Wang Yangming saw the importance of Zhiliangzhi by Shi Shang Mo Lian(事上磨鍊) and Shi Zhong(時中). Through this Zhiliangzhi, it is possible to move toward the ideal Hele(和樂). Today's Sanjo focuses more on adapting the artist to a fixed musical form than on reflecting on the pure Liangzhi of the artist's inner self. In Sinawi before the early Sanjo, there was an artist's originality that freely lived within the promised basic framework, and the early Sanjo also had the characteristics of improvisation and autonomy of Sinawi's music. In order for modern Sanjo to recover its original spirit of creativity, a great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aspect of cultivation that restores the artist's Liangzhi, rather than handing down only the outward aspects of music.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산조의 창조정신 회복을 위한 모색으로 왕양명의 치양 지(致良知)론을 고찰해 보는 것에 있다. 산조가 확산될 당시에는 음악에 대한 연주자 의 개성과 탁곡(度曲)에 대한 자유로운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던 반면, 현대의 산조에 서는 중요무형문화재의 권위와 보수성으로 인해 산조의 본래적 특징인 자율성, 즉흥 성, 생동성이 대부분 소실되었다. 왕양명은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순선한 천리(天理)가 있다고 보았고, 이 것을 마음의 본체인 양지(良知)라 하였다. 양지는 사욕과 인욕에 의해 가려지기 쉬우 므로 내 마음이 지향하는 바를 올바르게 세워서 지속적으로 성의(誠意)하여야 치양지 (致良知)에 이를 수 있다. 치양지는 사물과의 관계 속에서 양지를 성찰, 보전하는 것으 로 왕양명은 사상마련(事上磨鍊)과 시중(時中)에 의한 치양지를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치양지를 통해 이상적인 화락(和樂)의 정신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오늘날의 산조는 예술가 내면의 순선한 양지를 성찰하는 것보다는 고정화된 음 악 형식 속에 예술가를 순응시키는 것에 더 큰 방점을 두고 있다. 산조 이전의 시나위 에서는 약속된 기본적인 틀 속에서 자유롭게 생동하는 예술가 본연의 음악적 양지가 있었고, 초창기 산조 또한 시나위가 가진 음악에 대한 즉흥성과 자율성의 특징을 지니 고 있었다. 현대의 산조가 본연의 창조정신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음악의 외현적인 것 만을 전수하는 것이 아닌 예술가 내면의 양지를 되찾는 수양의 측면에도 큰 방점을 두 어야 할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산조(散調)와 창조(創造)
Ⅲ. 산조 주법에 나타난 창조성의 동인
1. 다스름[調音, 治音]
2. 농현(弄絃)의 여음(餘音)
Ⅳ. 현대의 산조를 위한 왕양명의 치양지(致良知)론
1. 양지[良1知]
2. 치양지(致良知)
3. 화락(和樂)
Ⅴ.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홍주 Kim, Hong Ju.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한국철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