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퇴계 이황 산수시에 나타난 순정미학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Purity Aesthetics that Appear in Toegye Yi Hwang’s Shan-shui Poetry (山水詩)

김종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discusses the nuance of joviality that appears in Toegye’s Shan-shui Poetry (山水詩) from the perspective of Purity and Morality (純正) Aesthetics. According to Japanese scholar Toshio Takeuchi, “Purity and Morality Aesthetics, which implies Purity and Righteousness (純正), is the purest realization of the qualities of general aesthetics as an aspect of Purity Aesthetics”. He further argues that “this can also be referred to as Ideal Aesthetics since it simultaneously pursues the ideal aspect of the form in actuality in the field of art.” From this point-of-view, Purity and Morality Aesthetics can be explained as a concept depicting the status of moral correctness and emotional purity. Toegye’s Shan-shui Poetry displays balance and understated emotion, which can be explained with Personality Aesthetics of Xing-qing-zhi-zheng (性情之正) which, in turn, has the meaning of Righteousness (正) to the subject of artistic experience. As such, countless previous studies regarded Toegye’s poetry simply as a means of cultivating personality. However, Toegye set joviality of the Pleasure of Nature (山水之樂) as the ultimate intention of his Shan-shui Poetry and, through it, aimed to embody the state of Unity of Heaven and Earth (天 人合一). Though this form of emotion is distinguished from the common form of emotion obtained in the simple sensory dimension, the state of joviality experienced through continuous cultivation is a positive sentiment naturally understood at a certain level, as apparent in Toegye’s Artistic Appreciation of You-yu-yi (遊於藝). Based on such discussions, this thesis analyzes Toegye’s literature and Shan-shui Poetry utilizing various theories and aesthetic research methodologies formed on philosophical introspection, and by doing so, derives the emotion of reason implied in his works. Particularly, the study’s main focus is the specific category of Purity Aesthetic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jor premise of aesthetics which concerns “emotional cognition” based on the “existence of the object.”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퇴계 산수시에 나타난 즐거움의 정감을 순정(純正)미학의 측면에서 서술해 보았다. 일본의 학자 다께우찌 도시오에 따르면 “순수하고 바름[純正]을 뜻하는 순정미학은 순수미의 한 측면으로써 미적인 것 일반의 특질이 가장 순수하게 구현되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정의한다. 그는 더 나아가서 “이것은 동시에 예술에 있어서도 항상 현실 형태에서의 이상적인 면을 추구하기에 이상미라고도 일컫기도 한다”라고 기술하기도 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봤을 때, 순정미학은 윤리적으로 바르고 감성적으로 순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이라고 말할 수 있다. 퇴계 산수시에서는 중화의 절제된 감정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주 로 미적 체험의 주체인 화자에게 올바름[正]을 의미하는 성정지정(性情之正)의 인격미 로 설명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퇴계의 시를 인격 수양의 수단으로만 여 기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하지만 퇴계는 산수시의 궁극적인 지향점으로써 ‘산수지락(山 水之樂)’의 ‘즐거움’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경지를 체현하고자 하였다. 물론 이러한 감성은 단순히 감각적인 차원에서 얻어지는 일반적인 형태의 감 정과는 구분된다. 하지만 꾸준한 수양을 통해 체득되는 즐거움의 경지는 퇴계가 추구 한 심미관인 ‘유어예(遊於藝)’에서 알 수 있듯이 일정 수준에 도달했을 때 자연스럽게 공감될 수 있는 긍정적인 정감이다. 이런 논의들에 기반하여 본 논문은 철학적 성찰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이론과 미학적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퇴계의 문헌과 산수시를 분석해봄으로써 여기에 함의된 사유와 감성을 도출해보았다. 특히 ‘대상의 존재’를 바탕으로 ‘감성적 인식’이라고 하는 미학의 대전제를 사용하여 순정미라는 구체적인 범주의 구성이 해당 연구의 중점사항이라고 말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퇴계의 산수시와 性情之正의 樂
Ⅲ. 山水之樂의 인생경계와 순정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백 Kim, Jong Baek.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문화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