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Poems from Gangwon-Do Province in the <Chŏnggoo-jeyŏng(靑邱題詠)>
초록
영어
The
한국어
『청구제영(靑邱題詠)』은 19세기 관료이자 문인인 홍경모(洪敬謨, 1774~ 1851)가 전국의 누정에 걸린 시판을 탁본하여 제작한 탁본첩이다. 여기서는 강원도 지역의 탁본에 수록된 한시 작품을 대상으로 그 특징과 활용 방안을 논의하였다. 『청구제영』에 수록된 강원도 지역 한시는 금강산 인근의 탁본이 대종을 이룬다. 공적 영역에서 운영하는 정자의 시판이기 때문에 작품에 묘사되는 풍경은 공적인 시선으로 구성되어야 마땅하다. 그러나 『청구제영』에서는 공적 풍경과 사적 풍경이 교차하면서 창작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 책의 의의와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고전문학 연구에서 작가론을 보완하는 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둘째, 한국 서예사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한다. 셋째, 19세기 학술사 연구에 자료를 제공한다. 넷째, 지역의 문화자산을 풍부하게 하고 관광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앞으로 『청구제영』을 대상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가 관심을 가지고 함께 연구 해 나갈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청구제영』 제작 의도
Ⅲ. 조선 후기 강원도 지역 공적(公的) 공간의 문학적 표현
1. 자료의 개관 및 편찬 방향의 특징
2. 강원도 누정 소재 시판의 창작 경향 : 사적 풍경과 공적풍경의 경계
Ⅳ. 『청구제영』 소재 시문의 중요성과 그 활용 방안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