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the type of university admission screening affects department and university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fter admission.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department and university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fter admission according to the admission process in 2018 and 2019 using data from the 3rd and 4th years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early and regular admission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epartment and university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control variables included gender, university type (2 year college, 4 year college), and department (major) in the model.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classify universities in Seoul and non-Seoul areas an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admission screening on department and university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universities in Seoul, students who entered the school through early admissions had higher department satisfaction and university satisfaction than those who entered the regular admissions, an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on-Seoul universitie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department satisfaction between early and regular admissions, and early admissions have higher university satisfaction than regular admissions. Academic achievement was found to be higher in regular admissions than in early admissions, showing contrary results to universities in Seoul. It is believed that the above difference between Seoul and non-Seoul universities is due to the high preference for Seoul-based universities and the use of different strategies when applying to Seoul/non-Seoul universities.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ssion screening, department and university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irst, the results of differences in students' satisfaction with departments and universities according to university characteristics such as university location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admission screening considering university characteristics was necessary. Finally, it can be helpful for the management of students at the university. Efforts by universities are needed to improve department and university satisfaction,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ocal universities, improving students' satisfaction will be the first step in preventing dropouts.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 입학전형 유형이 입학 이후 학과·대학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교육고용패널 3차년도와 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2018년도, 2019년도 입학전형에 따라 입학 이후 학과·대학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발생하는 지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독립변수는 입학전형 유형으로 수시입학과 정시입학으로 구 분하였고, 종속변수는 학과·대학만족도와 학업성취도로 하였다. 그리고, 통제변수로는 성별, 대학교 유형(전문대학, 대학교), 학과(전공)계열 변수를 모형에 포함하였다. 특히, 서울소재대학과 지역소재 대학을 구분하여 대학소재지의 대학특성을 분석에 반영하고자 한다. 입학전형이 학과·대학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울소 재대학의 경우 수시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정시전형 입학생에 비해 학과만족도, 대학만족도가 모두 높았으며, 학업성취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소재대학의 경우 수시전형 입학자와 정시전형 입학자간의 학과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은 반면, 대학만족도는 수시전형 입학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소재대학의 학업성취도는 수시전형 입학생보다 정시 전형 입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서울소재대학과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서울소재대학과 지 역소재대학이 위와 같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수험생들이 서울소재 대학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서 울 및 지역소재대학 지원시에 각각 다른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입학전형과 학과·대학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실증분석함으로써 본 연구가 갖는 공헌점 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소재지와 같은 대학특성에 따라 학생들의 학과·대학 만족도에 차이가 있 다는 결과는 보고하였다. 둘째, 대학특성을 고려한 입학전형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 으로, 대학특성을 고려한 입학전형 수립은 대학의 재학생 관리와 학과·대학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지역소재대학의 경우 학생들의 만족도 향상이 중도탈락을 예방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와 가설설정
Ⅲ. 연구모형 및 표본
3.1 연구모형
3.2 표본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